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2508-2116(Print)
ISSN : 2713-7015(Onlin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Qualitative Research Vol.1 No. pp.1-8
DOI : https://doi.org/10.48000/KAQRKR.2016.1.1

Discourse Analysis as aWay of Understanding Health and Illness

Myungsun Yi
College of Nursing, Research Institute of Nursing Science,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Korea
Corresponding author: Yi, Myungsun College of Nurs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103 Daehag-ro, Jongno-gu, Seoul 110-799, Korea.
Tel: +82-2-740-8829, Fax: +82-2-765-4103, E-mail: donam@snu.ac.kr
October 9, 2015 ; November 2, 2015 ; December 22, 2015

Abstract

Purpose:

Health professionals need to bemore sensitive to the languages used in clinical settings to better understand their patients and to generate better health outcome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was to introduce discourse analysis as a way of understanding languages related with health and illness.


Methods:

This was a review of studies done bymultiple scholars dealt with discourse analysis.


Results:

This study provides theoretical backgrounds and basic assumptions of discourse analysis. Several key concepts were demonstrated compared with phenomenology and grounded theory methods. Those were data collection, analysis, and purpose of the study. In addition, evaluation criteria of discourse analysis was provided with strategies to improve quality of the study. Lastly, exemplary texts on discourse analysis in healthcare area were presented to promote understanding.


Conclusion:

Discourse analysis can help healthcare professionals develop effective communication strategies by gaining insight and sensitivity on languages related with health and illness that are habitually used in healthcare settings.



건강과 질병 이해를 위한 담론 분석

이 명 선
서울대학교 간호대학·간호과학연구소

초록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의료 현장에서의 의료인과 환자 간의 의사소통은 대체적으 로 비대칭적인 속성을 지니고 있다. 우리는 일상의 대화에서 공동의 주제를 가지고 쌍방이 동등하게 주도권을 행사하지만, 의료 현장에서 환자는 자신의 건강문제를 보고하며 의료인은 그 문제를 해결해주는 자로서 서로의 과업이 다르다는 비대칭 성이 있다. 의료 지식과 전문성에 있어서도 의료인과 환자 간 의 비대칭성이 존재한다. 이에 따라 의료인과 환자는 대화 속 에서 서로 동일한 현실을 구성해내기 어렵다. 그리하여 의료 인은 환자와 공감하면서 이들의 문제를 해결해주는데 한계를 지니게되고, 이는결국치료효과의감소및환자의불만족과 더불어 의료 소송의 증가로도 이어질 수 있다.

    최근 들어 만성질환이 증가하면서 환자들은 과거 수동적이 던 입장에서 벗어나 자신의 질병을 적극적으로 관리하게 되었 고, 이에 따라 의료인과 보다 긴밀한 의사소통을 요구하고 있 다. 예를들면, 치료에대한선택에있어서도그동안은의료인 이 선택하여 제안하고 환자는 이에 무조건적으로 혹은 수동적 으로 따르는 양상이었지만, 이제는 환자의 적극적인 참여가 권장되면서 의료인과 환자는 더욱 긴밀한 의사소통 속에서 치 료에 대한 협동적인 의사결정을 이루어내야만 하게 되었다.

    이렇듯 보다 중요해진 의사소통 증진을 위해서 무엇보다 중 요한 것은 의료인과 환자가 의료 현장에서 사용하는 언어에 대한 민감성을 증진시키는 것이다(Crowe, 2004). 즉 건강이 나 질병과 관련된 언어가 보건의료 현장에 어떻게 영향을 미 치고 의료인과 환자 관계에도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하 여 보다 명확하게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게 되었다. 특히 건강 이나질병과관련된차별이나편견, 혹은무지등과관련된언 어적 행위들을 심층적으로 다루고 드러냄으로써 보다 나은 환 자 이해를 도모할 뿐 아니라 보건의료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 키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Fairclough, 1992).

    담론 분석은 언어를 통해서 살아가는 인간의 삶을 탐구하는 하나의 연구방법으로서 특히 언어의 사용에 초점을 맞추고 있 어의사소통의이해와활용에크게기여할수있다. 담론분석 에서는 언어를 하나의 붙박이처럼 고정된 것이 아니라 맥락에 따라의미가달라지고, 그의미라는것역시현실의반영이아 니라 현실을 구성하는 특정 행위가 되므로, 언어가 어떠한 맥 락과 체계 속에서 사용되느냐를 파악하는 것은 중요하다고 본 다. 예를들면, 환자가‘아프다’라고말한그 한마디의 단어가 어떠한 맥락에서 쓰이느냐에 따라 의미가 단순히 ‘아프다’는 것에서 더 나아가 ‘관심을 가져달라’는 요구가 되기도 하고 ‘진 통제를놓아달라’는요구가되기도한다. 따라서담론분석연 구는 구체적인 언어 사용에 대한 이해를 높여줌으로써 의료인 들이 언어에 대한 민감성을 높이는데 기여할 뿐 아니라 보다 나 은 의사소통 전략을 개발하고 적용하는 데에도 도움을 줄 것이 다(Lupton, 1992). 보다광범위하게는담론분석을통하여건 강과 관련된 문화적 패권을 확인하고 이것이 어떻게 구축되고 유지되며재생산되는지에대한방식을파악함과동시에, 이러 한 담론과 이데올로기 내에 교묘하게 감추어진 권력을 명백하 게파악할수있을것이다. 그리하여 담론에내재되어 있는 의 미를 통제하고 설득하고 조종하기 위한 보다 절묘한 형태와 전 략들을 만들어 냄으로써 패권을 쥐고 있는 담론이나 이데올로 기의 유지에 도전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담론 분석은 매우 다양하고 광범위하다. 따라서 넓은 의미의 담론 분석에 대해서 살펴 본 후, 본론에서는 좁은 의미 의 담론 분석에 대한 이론적 배경과 기본 가정을 다루고자 한다. 그리고 담론 분석에서 사용하는 자료수집과 분석 및 평가 기준 등을다른질적연구방법과비교하고, 마지막으로담론분석을 이용한 보건의료 관련 논문들을 사례로 제시할 것이다.

    2. 담론 분석의 종류

    담론분석은언어학, 문학비평, 그리고기호학등에서발전 되면서 매우 다양하고 광범위한 양상을 띠고 있다(Traynor, 2005;Wetherell, Taylor, & Yates., 2001;Wood & Kroger, 2000). 미시적으로는 대화를 미세한 수준에서 탐구하는 순수 언어학적 연구에서 부터 푸코(Foucault, 1965)의 연구처럼 정신병동과 같은 기관이나 인간의 성정체성에 대한 사회적 태 도 내에 도사리고 있는 힘의 관계에 대한 광범위한 역사철학 적 접근까지를 아우르는 거시적 분석이 있다. 이러한 담론 분 석은 크게 네 가지 종류로 구분할 수 있다(Wood & Korger, 2000).

    첫째는 사회심리학 내 담론 분석(discursive social psych- ology)이다. 담론심리학에서는언어를인간의마음을나타내 는 거울이라고 취급하지 않고 사회적 작용으로 취급하고 있다. 여기에서도 모든 텍스트 자료가 연구의 대상이 될 수 있지만, 주로 자연적으로 일어나는 대화나 실험적으로 만들어진 인간 의 상호작용을 탐구한다(Potter & Edwards, 2001).

    둘째는대화분석이다.이연구도실제상호작용하고있는대 화(talk-in-interaction) 속에서드러나는언어사용에대해탐 구한다. 사회적 행위인 대화라는 행위는 수행을 위한 조건과 목적을 지니고 있으며 동시에 어떤 규칙에 의해서 이러한 대화 가 도출된다고 본다. 따라서 분석의 초점은 실제 대화에서 각 화자들이 맞닥뜨리는 규칙을 주로 탐구한다(Drew, Chatwin, & Collins, 2001;Psathas, 1995;Schegloff, 1987). 즉 대화 를 할 때 마다 즉흥적으로 새로운 규칙과 구조가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고, 규칙과 구조가 이미 존재하지만 대부분 무의식 적으로 이들을 사용하고 있으므로 이를 의식적으로 밝혀내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방법을 이용한 국내 보건의료 계 연구로는 치매 환자와 간호사간의 대화(Yi, 2009a) 및 비 언어적 대화(Yi, 2009b) 등이 있다.

    세 번째 종류는 비판적 담론 분석으로 이는 가장 거시적인 연구이다. 푸고와 데리다의 연구가 여기에 속하며, 주로 사회 문제와 관련된 담론의 이해에 초점을 둔다. 예를 들면 사회구 조적인변수인인종, 성별, 계급등을중심으로하여사회에서 당연히여기는측면들을역사적,사회적으로연결하며비판적 으로분석한다. 특히담론은타인과나를움직이는힘혹은권 력과 결부되어 있으므로 담론 속에 숨겨져 있는 권력과 주체 의 문제를 다루며 이러한 권력을 통해 주체가 어떻게 형성되 는가를탐구한다. 예를들면, 푸코(Foucalut, 1965)는정신의 학이라는 담론 속에서 광기를 중심으로 어떻게 ‘정상인’과 ‘광 인’ 중의 하나로 자리매김하게 되는지를 보여주고 있다. 비판 적담론분석에서는미디어담론, 인터뷰자료및다양한소설 작품과 필름 등을 포함하여 모든 텍스트를 자료로 이용한다.

    마지막에 속하는 것은 화용론과 내러티브 분석이다. 여기 에서는 인간의 언어적 행위는 전통과 공유된 규칙 및 내러티 브에 의해서 타인과 연결된다고 가정하고 있다(Wood & Kroger, 2000). 그중에서화용론은구어의사용에초점을두 며, 내러티브 분석에서는 말하는 사람의 이야기 내용뿐 아니 라 그 이야기의 구조에도 초점을 두는 것으로서 국내 요실금 여성노인의이야기에대한연구(Yih & Yi, 2009)가여기에속 한다.

    하지만 담론 분석은 보다 좁은 의미로 다루는 경향이 있으 며, 따라서 일부에서는 대화분석, 내러티브 분석이나 화용론 등을 제외하기도 하므로, 이후부터는 좁은 의미의 담론 분석 으로 제한하여 기술하고자 한다.

    본 론

    1. 담론 분석의 이론적 배경과 기본 가정

    인간은 언어적 존재로서 우리는 언어를 통해서 세상과 자신 을 이해하고 드러내면서 살아간다. 담론 분석은 이렇듯 언어 를 통해 살아가는 인간의 삶을 탐구하는 방법으로서 특히 언 어의 사용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즉 담론 분석은 탐구하고자 하는 언어를 사회적, 문화적, 정치적, 그리고 역사적 맥락 속 에 놓고 무엇이 말해졌고 왜 이러한 단어들을 사용하고 이러 한 단어들은 어떤 함축성을 지니고 있는가 등을 탐구하는 질 적 연구방법의 하나이다.

    언어는 크게 세 가지 속성을 지닌다(Potter & Edwards, 2001).첫째, 언어는상황적이다.둘째, 언어는행위-중심적이 다. 그리고세번째, 언어는구성적이다. 언어가상황적이라는 의미는 언어가 세상을 있는 그대로 비추는 거울이 아니라 항 상 특정한 시각과 관점에서 세상을 바라보게 만드는 틀이라는 것이다. 다시 말하자면, 우리가 사용하는 언어는 보편적인 의 미를 지니고 있는 것이 아니라 언어가 사용되는 상황과 맥락 에 따라 화자와 청자 모두 특정한 의미를 부여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담론 분석에서는 언어를 상황적인 맥락 속에서 이해하 여 그 의미를 파악하고자 한다.

    둘째, 언어는행위-중심적이다. 언어가행위-중심적이란뜻 은 언어를 행위로 보아야 한다는 것이다. 언어는 특정한 틀을 통하여 사실을 전달하는 도구일 뿐 아니라 세상을 변화시키고 나와 타인을 움직이게 하는 행위이기 때문이다. 앞에서 언급 하였듯이 병원에서 어떤 환자가 “아프다”라고 말할 때 그 말 은 통증에 대한 환자 개인의 반응을 나타내는데서 더 나아가 상대방으로 하여금 관심과 사랑 혹은 진통제가 필요하다는 요 구의 행위일 수 있다. 이렇듯 언어는 상대방과 나를 움직이는 힘을 지니고 있으며, 내가 원하는 방향으로 움직이도록 하는 힘이 있다. 따라서 언어는 생산적이건 억압적이건 간에 세상 을 바라보는 특정한 틀이 있는 힘의 발현으로서의 행위라고 본다(Suh, 2011). 담론 분석에서는 언어 혹은 담론에 어떠한 힘이 있고 이러한 힘이 어떻게 작용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고자 한다.

    셋째, 언어는구성적이라는속성이있다. 인간은언어를통 해 자신을 형성하고 변화시키며 동시에 사회를 끊임없이 구성 해나가기 때문이다. Fairclough (1992)는 언어 혹은 담론의 이러한 구성 효과(constructive effects)를 세 가지로 제시하 고있다.우선담론은개인이세상에존재하는방식,혹은개인 이 자신을 자리매김하는데 기여한다. 둘째, 담론은 사람들 간 의 사회적 관계를 구성하는데 기여한다. 셋째, 담론은 지식체 계와신념체계를구성하는데기여한다.따라서담론분석에서 는 한 개인의 경험이 언어에 의해 사회적으로 그리고 역사적 으로 구성되는 방식을 탐구하며(Crowe, 2004), 이러한 구성 과정을 통해 우리는 어떠한 가치와 방향을 띄고 있는가를 비 판적으로볼수있는안목을가질수있다(Suh, 2011).이렇듯 담론 분석은 나 자신의 언어적 실천이 지니는 가치와 방향을 성찰할 수 있는 방법으로서 중요한 의미를 지닐 뿐 아니라 사 회를 비판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도 매우 중요하다.

    결론적으로 담론 분석은 개인의 경험이 언어의 의해 어떻게 사회적, 역사적으로 구성되는가를 탐구하는 방법으로서 언어 의 사용에 특히 중점을 둔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특정한 맥락 속에 뿌리박혀 있는 언어의 의미를 찾아내고, 그 힘의 작용을 탐구함과 동시에, 언어를 통해 자신을 형성하고 변화시키며 동시에 사회를 끊임없이 만들어나가는 구성 과정 혹은 실천과 의 관계도 탐구하게 된다.

    2. 다른 질적 연구방법과의 비교

    담론분석은언어의사용에초점을둔다.그이유는언어사 용의 공유와 상호 동의를 통해 언어가 창조되고 이러한 언어 는 현실세계에 대한 이해를 중개하고 구성하기 때문이다. 그 렇다면 담론 분석은 현상학이나 근거이론과 같은 질적 연구방 법과 어떠한 차이가 있으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연구목표에있어서차이가있다.현상학은현상의체 험이나 개념에 대한 의미를 탐구하여 기술하는 것이고, 근거 이론은 기본적인 심리사회적 과정에 대한 설명적 이론을 개발 하는것이다. 한편, 담론분석은인간이자신의정체정과행동 을 만들어내고 규정하기 위하여 언어를 어떻게 사용하는가를 이해하는 것에 목표를 둔다(Stark & Trinidad, 2007).

    둘째, 자료에있어서담론분석은다른질적연구와마찬가 지로 다양한 텍스트를 대상으로 한다. 인터뷰 자료뿐만 아니 라신문기사, 드라마, 영화, 잡지, 뉴스, 각종학술논문이나정 책 담론 등에 이르기 까지 언어적 코드를 지닌 모든 텍스트가 자료가 될 수 있다. 하지만 관찰이나 인터뷰를 통해서 자료를 수집할경우,관찰이나인터뷰의초점은현상학이나근거이론 과는 차이를 보인다. 현상학을 위한 인터뷰에서는 인간의 생 생한 경험에 대한 질문을 하고, 근거이론에서는 사회적 상호 작용을 통해 어떻게 사회적 과정이 변화되어 가면서 참여자들 이 적응해 가는가를 질문하게 된다. 하지만 담론 분석을 위한 인터뷰에서는 언어 사용을 통해 지식, 의미, 정체성, 그리고 사회적 산물이 어떻게 협상되고 구성되는가를 탐색한다. 즉 현상학적 인터뷰나 근거이론 인터뷰에서는 참여자의 경험 이 야기를 이끌어내는 것이 목적이고, 그 기본 가정에는 연구자 나 참여자 모두 참여자의 언어로 이해할 수 있다는 것이 깔려 있다. 따라서 인터뷰를 진행하는 사람은 듣는 사람으로 자리 매김하면서 참여자의 생생한 경험을 명확하게 하고 잘 드러내 도록 하기 위하여 상세하게 이야기하도록 격려하면서 인터뷰 를 진행한다. 하지만 담론 분석을 위한 인터뷰에서는 그 목적 이 담론에 참고가 되거나 흥미를 끄는 참여자의 언어를 포착 하는데 초점을 둔다. 즉 연구자와 참여자가 같은 단어를 사용 하더라도 서로 똑같은 사물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고 가정하 고 있으며, 단지 모두 스스로를 표현하기 위하여 언어를 사용 한다는 것으로 이해하고, 어떤 특정한 방식으로 그들이 말하 고 있는 사람이나 사물을 표현하기 위해 언어를 사용하고 있 다고 본다. 그러므로 연구자는 특정 용어의 사용을 통해서 참 여자가 전하고자 하는 의미에 대하여 명확한 질문을 요청할 필요가 있다.

    셋째,질적연구를위한표본수는분석목표와자료출처에 따라 다양하므로 어떠한 규정이 정해져 있지 않다. 하지만 대 체적으로 현상학에서는 1~10명의 표본 수를 필요로 하며 근 거이론에서는 10~60명의 표본 수를 제안한다(Starks & Trinidad, 2007). 마찬가지로 담론 분석에서도 목표에 따라 단 한 사람의 이야기를 사용할 수 있지만 더 많은 수의 표본을 필요로 할 수도 있다.

    넷째, 분석과 해석 방법에 있어서 현상학과 근거이론방법 은 구체적인 분석 전략들이 제시되어 있는 편이다. 그러나 담 론분석은구체적인분석전략이거의없다. 하지만반복과탈 맥락화 및 재맥락화에 따른 귀납적 과정을 이용한다는 점에서 는 여느 질적 연구의 분석방법과 유사하다. 연구자는 탈맥락 화를 통해 개별 사례 본래의 맥락에서 자료를 분리하고 텍스 트에서의미단위에코드를부여한다.재맥락화에서는유형을 도출하기 위해 코드를 확인하고 모든 사례나 이야기를 아우르 는 중심 현상이나 관련성을 중심으로 자료를 재통합하고 조직 화한다. 단 담론 분석에서는 주어진 상황에서 사람들이 자신 의 언어로 행하는 것을 이해하는 것에 목적을 두므로 언어 사 용을 통해 나타나는 주제를 확인하는데 초점을 두게 된다. 이 를 위해서는 언어 사용 방식을 드러내는 참여자의 이야기와 텍스트로부터 나오는 증거를 사용한다는 점에서 다른 분석방 법과 차이가 있다. 또 다른 차이점은 현상학이나 근거이론은 탐구하고자 하는 사람들의 삶이나 경험의 내용에 관심을 두지 만, 담론 분석에서는 내용뿐 아니라 특정한 기능과 효과를 얻 기 위하여 융통성 있게 언어를 사용하는 방식도 분석한다. 한 편, 언어가사용되는방식에대한분석은종류에따라어휘적, 실용적, 담론적, 그리고 사회적 수준에서 내용을 확인하게 된 다. 요약하자면, 담론 분석은 하나의 고정된 방법이라기보다 는 하나의 접근으로 보아야 한다. 연구자는 자신이 채택한 입 장에 근거하여 현상을 이해하기 위해 어떤 고정된 방법으로 시도하기 보다는 경계에 머무르며 체계적이면서도 유통성 있 게 분석을 시도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Cheek, 2004).

    3. 담론 분석 연구의 평가

    언어의 사용에 초점을 둔 담론 분석 역시 여느 질적 연구의 평가기준과 유사하다고 할 수 있다. 즉 신뢰성, 적용가능성, 감사가능성, 그리고확인가능성으로평가될수있다(Guba & Lincoln, 1981;Sandelowski, 1986).한편, Crowe (2004)는 담론 분석만을 위한 평가 기준을 방법론적 엄밀성과 해석적 엄밀성으로 구분하여 제시하기도 하였다(Table 1).

    여느 질적 연구와 마찬가지로 담론 분석에서도 위에서 제시 한평가기준을확립하기란쉽지않으며(Cheek, 2004), 따라 서 구체적인 전략을 연구 수행 이전에 확립하는 것이 필요하 다.우선담론분석은범위가다양할뿐아니라각기다른학문 적배경을지니고있기때문에, 담론분석의종류에맞게자신 의연구의범위와한계를명확하게하는것이필요하다. 둘째, 담론분석에서는담론, 텍스트, 내러티브, 이야기등의용어들 이 혼용되어 사용되므로(Cheek, 2004), 이러한 상호교환적 인 용어들의 혼선을 막기 위해 연구자는 학문적 배경을 고려 하여용어를주의깊게선택해서사용해야할것이다.셋째,텍 스트와 텍스트가 처해 있는 콘텍스트 즉 맥락과의 긴장성 때 문에 실제 분석하고자 하는 텍스트와 얼마나 더 넓은 맥락 속 에서 텍스트를 해석할지 결정하기란 쉽지 않다. 얼마나 미시 적으로 분석할 것인지 혹은 거시적으로 분석할 것인지에 대한 분석과 해석 범위가 미리 설계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연구자 는 연구를 시작하기 이전에 어떠한 수준, 즉, 어휘적, 실용적, 담론적 혹은 사회역사적 수준에서 분석할지 미리 결정해야 한 다. 넷째, 담론 분석에서는 충분하고 엄밀한 방법이 제시되지 않아 연구자는 자신의 연구결과의 타당성을 제시하는데 어려 움이 크다. 이를 위해서는 위에서 제시한 다양한 평가기준을 적용하여 구체적인 전략들을 연구 이전에 미리 고안해내어 실 천하고, 그 결과를 독자들에게 제시해야 한다.

    4. 담론 분석 연구 사례

    담론 분석으로 다룰 수 있는 보건의료 주제들은 다양하다. 대중 매체에 퍼져있는 건강 이슈에 관한 일반인의 건강신념과 메시지가 여기에 속한다. 담론 분석을 통하여 이러한 건강신 념이나 메시지 이면에 숨겨있는 가정들을 이해하고 이러한 언 어들이 어떠한 위력을 발휘하는지를 이해함으로써 보다 민감 한형태의의료와간호를제공할수있을것이다.그외에도간 호사, 의사, 환자 사이의 의사소통 과정이나 일반인의 건강신 념에 관한 심층 인터뷰, 일반인들의 건강 위험과 쟁점들에 관 한대화,그리고정부주도하에진행되는건강증진메시지,대 중매체에서의 건강정보, 교과서 및 의료정책 문서 등 다양한 것들이 연구 주제로 포함될 수 있다. 연구자는 이러한 주제들 을 중심으로 하여 나타나는 언어적 관행을 찾아내어 이들이 어떤 의미를 지니며, 사회적, 문화적, 정치적 관행을 어떻게 역동적으로반영하는가를탐구하게된다.여기에는어떤말이 나 텍스트에 대한 상식적인 코멘트에서 더 나아가, 담론의 구 조와 전략 그리고 속성들에 대한 심층적이고 총체적인 분석 결과를 도출해야만 한다(Cheek, 2004).

    보건의료계에서는 2000년대 이후부터 담론 분석 연구가 본격화되었다. 환자와 관련된 주제로는 만성피로증후군에서 의‘피로’(Hart & Grace, 2000),죽음에대한‘부정’(Zimmer- man, 2004),치료에대한환자주도적인참여(Hui & Stickley, 2007), ‘내게 무슨 잘못이 있는지 알려주세요’라는 말을 통한 환자의자율성개념(Nessa & Malterud, 1998), 그리고DSM IV라는 정신질환 분류에서 ‘정상’이란 무엇을 의미하는지 (Crowe, 2000) 등이 있다. 국내에서는 10대 초반 소녀들의 사춘기에 대한 담론 분석이 진행되었고 이를 통하여 사춘기 소녀들이 자신의 발달 과제를 보다 잘 해결하도록 돕기 위한 간호중재의근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Lee, 2005). 의료인과 관련해서는 환자의 자율성이나 불이행에 대한 간호사의 인지 (Hallett, Austin, Caress, & Luker, 2000)에대한연구가있 으며, 여성이 배우자의 건강까지도 책임져야 하는 영국의 공 적인 지배담론에 대한 연구(Seymour-Smith, Wetherll, & Phoenix, 2002)도 진행되었다.

    다음은 담론 분석 연구의 일부를 선정하여, 이들의 연구목 표, 분석방법, 그리고 사용한 자료와 결과들을 간략하게 제시 함으로써 담론 분석의 이해를 높이고자 하였다.

    1) 사례 1: 환자의 ‘자율성’ (Nessa & Malterud, 1998)

    의료 현장에서 환자의 자율성을 보장하는 것은 의료인에게 매우중요한일이다. 이연구는환자의‘자율성’이라는개념을 담론 분석으로 접근함으로써 ‘자율성’에 대한 기존의 개념에 도전하고자 하였다. 환자-배우자-의사 사이의 대화를 자료로 이용하였고, 이를 케이스 연구에서 사용하는 질적 접근으로 분석하였다. 일단, 환자 자율성에 대한 이론적 분석을 실시하 고, 원 자료를 분석할 때에는 상담 중에 환자-배우자-의사 사 이의 대화에서 상호작용하는 요소들을 확인하는데 초점을 두 었다. 분석 결과, 환자의 자율성은 환자가 가져야 할 의료적, 윤리적 권리임과 동시에 환자를 잘 돌보기 위한 치료적 이상 임을 밝히고 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저자는 의료인들은 고지에 입각한 동의에 대한 권리를 환자에게 부여해야 하고, 환자의 자율성을 해치지 않으면서 환자와 공감적인 대화를 통 해 관계를 형성하며 공통의 목표를 달성해 나가야 한다고 제 안하고 있다.

    2) 사례 2: 만성피로증후군 여성의 ‘피로’ (Hart & Grace, 2000)

    이 연구는 만성피로증후군 여성들이 ‘피로’를 어떻게 사용 하고있는지에대한연구이다.자료는만성피로증후군을경험 한 20대에서 60대 사이 11명의 여성을 심층 인터뷰하여 수집 하였다. 자료분석은 ‘피로’에 관한 텍스트를 얻기 위해 주요 단어와 주요 구절들을 스캔한 후 주제들에 따라 분류하였다. 연구결과, 피로는 객관적이라기보다는 매우 주관적이며 무엇 인가가 없는 부재를 표현하는 방식임을 밝히고 있다. 즉 피로 는 기억력 저하로 인한 의사소통의 부재, 집중력의 저하로 인 한기동성제한, 그리고에너지부족임을보여주고있다. 또한 피로는 온몸으로 귀 기울여 대처하고 다루어야 하는 도전이지 만 결국에는 포기와 항복을 의미하는 수용으로 나아감을 보여 주고 있다. 결론적으로 저자는 ‘피로’란 객관적으로 확인하기 어렵고 생의학적인 용어로 표현될 수 없으며, 오히려 주관적 이고 부정적인 부재 혹은 부족을 표현하는 하나의 방식이라고 지적하였다.

    3) 사례 3: 임박한 죽음에서의 ‘부정’에 관한 담론 분석 (Zimmerman, 2004)

    임박한 죽음 앞에서 환자들은 종종 자신의 죽음을 부정하 게 되는데, 이 연구는 이러한 ‘부정’을 문헌에서 어떻게 사용 하고있는지에대한담론분석이다. 총30개의논문을자료로 이용하여 지속적인 비교분석방법을 이용하면서 ‘부정하다’와 ‘부정’으로 확인되는 단어의 의미와 사용에 대한 주제들을 도 출하였다. 분석 결과, 의료인이나 연구자들은 ‘부정’을 하나 의 무의식적인 ‘방어 기전’으로 다룸과 동시에 ‘부정’은 건강 한 것일 뿐 아니라 일시적으로 나타나는 현상으로 다루었다. 이에 따라 저자는 의료인들이 지닌 ‘부정’은 이분법적인 태도 가 아니라 ‘죽어감’에 대한 광범위한 담론의 일부라고 밝히고 있다.

    4)사례4: ‘아내가병원에가보라고해서왔어요’ (Seymour- Smith, Wetherll, & Phoenix, 2002)

    이 연구는 영국의 남자 환자들이 병원에 오면 늘 당연하게 하는말,즉“아내가병원에가보라고해서왔어요.”라고말에 대한담론분석이다. 연구의목적은신문에나온‘남성의건강 을 위한 여성 가이드’라는 제목의 지배적인 담론을 이해하기 위함이다.구체적으로는공적인담론에서유형들이어떻게나 타나며 남자의 건강은 여자의 몫이라는 묘사들을 확인하고, 이러한 지배적인 개념으로 인해 의료인들이 남자 환자들을 어 떠한방식으로평가하고이해하는지를확인하고자하였다.자 료는 6명의 의사, 2명의 간호사, 1명의 상담사와 심층 인터뷰 한자료를활용하였다.분석을위해대화분석과민속방법론을 활용하였으며,이를통하여의사와간호사들이남자환자들에 대하여 논의할 때 주로 끌어들이는 ‘해석적 레퍼토리’를 확인 하고, 남자환자들이제공하는‘주관적인입장’을탐구하기위 해 반복되는 주요 유형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지배적 인 해석 목록 속에서 의료인이 겪는 딜레마와 남자 환자들이 당연하다고 유형화하면서 제기하는 딜레마들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남자들은자신의건강에신경쓰지않고책임을 지지도 않으며 정서적인 문제도 남에게 이야기하지 않고, 건 강에 아주 심각한 문제가 발생했을 때에만 비로소 건강서비스 를 이용한다고 밝히고 있다. 심지어 남자 의사인 경우에도 그 들이 환자가 되면, 다른 남자들과 마찬가지로 소소한 불편이 나 통증을 참아내는 사람이라는 긍정적인 유형으로 자신을 구 성한다는것이다.이러한결과는고정관념이나지배적인담론 이 얼마나 위력적인가를 보여주고 있는데, “아내가 병원에 가 보라고 해서 왔어요”라는 지배적인 담론은 남자 환자와 의료 인들로 하여금 무엇이 이야기되고 생산되어야만 하는지에 대 한 한계와 범위를 정해주고 있다. 이러한 담론을 통하여 우리 는 환자의 말은 그저 말로 끝나버리는 것이 아니라 그 말에 연 루된 의사나 간호사들이 특정한 방식으로 반응하면서 환자와 함께 질병의 현실을 만들어나가는 현상을 볼 수 있다.

    위에서제시한사례에서보여주듯이, 담론분석연구는의 료 현장에서 흔히 사용하는 언어에 대한 민감성을 증진시킬 뿐 아니라 구체적인 일상의 순간순간을 비판적으로 파악하고 성찰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의료인들은 우리 가 사용하는 구체적인 언어가 의료 현장에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보다 명확하게 인식하게 되고, 이에 더 나아 가 환자와 의료인들이 지니고 있는 무지나 편견 등을 드러냄 으로써 보다 나은 환자와의 소통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

    결 론 및 제 언

    담론 분석은 21세기 언어의 위력에 대한 수용과 함께 언어 의 사용에 초점을 두고 개발된 질적 연구방법이다. 본 글에서 는 담론 분석의 이론적 배경과 기본 가정 및 종류들을 제시하 고,담론분석연구의질을확보할수있는전략과평가기준등 을 제시하였다. 또한 다른 질적 연구방법과의 차이점을 비교 하고 담론 분석 연구의 사례를 제시함으로써 독자들의 이해를 높이고자 하였다.

    담론 분석을 통하여 우리는 의료 현장에서 흔히 사용되는 관행적인 용어들이나 건강이나 질병과 관련된 차별, 편견, 무 지 등과 같은 언어적 행위들이 구체적인 보건의료 현장에서 어떻게그위력을발휘하는지파악할수있다. 다시말하자면, 건강이나 질병과 관련하여 사람들이 사용하는 특정한 말이나 용어가 그 말에 연루된 많은 사람들로 하여금 특정한 방식으 로반응함을파악함으로써,의료인들은보다심층적이고효율 적으로환자의질병과건강문제에접근할수있을것이다. 궁 극적으로는 의료인과 환자들이 말하는 방식의 변화에 기여함 으로써 환자와 의료인의 만족도 향상뿐 아니라 간호와 치료의 질 향상에도 기여할 것이다.

    Figures

    Tables

    Evaluation Criteria for Discourse Analysis (adopted from page 61-62)

    References

    1. Cheek, J. (2004). At the margins? Discourse analysis and qualitative research. Qualitative Health Research, 14 (8), 1140-1150.
    2. Crowe, M. (2000). Constructing normality: A discourse analysis of the DSM-IV. Journal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7, 69-77.
    3. Crowe, M. (2004). Discourse analysis: Towards on understanding of its place in nursing. Journal of Advanced Nursing, 51, 55-63.
    4. Drew, P. , Chatwin, J. , & Collins, S. (2001). Conversation analysis: A method for research into interactions between patients and health-care professionals. Health Expectations, 4, 58-70.
    5. Fairclough, N. (1992). Discourse and social change. Cambridge: Polity Press.
    6. Foucault, M. (1965). Madness and civilization: A history of insanity in the age of reason. Translated from the French by Richard Howard in 1988. New York, NY: Vintage Books, A Division of Randon House.
    7. Guba, E. G. , & Lincoln, Y. S. (1981). Effective evaluation: Improving the usefulness of evaluation results through responsive and naturalistic approaches. San Francisco, CA: Jossey- Bass Publishers.
    8. Hallett, C. E. , Austin, L. , Caress, A. , & Luker, K. A. (2000). Community nurses’ perceptions of patient ‘compliance’ in wound care: A discourse analysi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32, 115-123.
    9. Hart, B. , & Grace, V. E. (2000). Fatigue in chronic fatigue syndrome: A discourse analysis of women’s experiential narratives. Health Care for Women International, 21, 187-201.
    10. Hui, A. , & Stickley, T. (2007). Mental health policy and mental health service user perspectives on involvement: A discourse analysi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59, 416-426.
    11. Lee, E. J. (2005). The discourse analysis of puberty in early teenage girls.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11 (2), 179-188.
    12. Lupton, D. (1992). Discourse analysis: A new methodology for understanding the ideologies of health and illness. Australian Journal of Public Health, 16 (2), 145-150.
    13. Nessa, J. , & Malterud, K. (1998). Tell me what’s wrong with me: A discourse analysis approach to the concept of patient autonomy. Journal of Medical Ethics, 24, 394-400.
    14. Potter, J. , & Edwards, D. (2001). Discursive social psychology. In W. P. Robinson & H. Giles(Eds.), The new handbook of language and social psychology(pp. 103-118). Hoboken, NJ: John Wiley & Sons, Ltd.
    15. Psathas, G. (1995). Conversation analysis: The study of talk-in-interaction.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16. Sandelowski, M. (1986). The problem of rigor in qualitative research. Advances in Nursing Science, 8 (3), 27-37.
    17. Schegloff, E. A. (1987). Analyzing single episodes of interaction: An exercise in conversation analysis. Social Psychology Quarterly, 50, 101-114.
    18. Seymour-Smith, S. , Wetherll, M. , & Phoenix, A. (2002). ‘My wife ordered me to come!’: A discursive analysis of doctors’ and nurses’ accounts of men’s use of general practitioners.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7, 253-267.
    19. Starks, H. , & Trinidad, S. B. (2007). Choose your method: A comparison of phenomenology, discourse analysis, and grounded theory. Qualitative Health Research, 17, 1372-1380.
    20. Suh, D. H. (2011, December). Discourse analysis and a case study. In H-M. Son(Chair), Discourse analysis: New qualitative approach on health and illness, Conference conducted at the Korean Association for Qualitative Research, Seoul, Korea.
    21. Traynor, M. (2005). Discourse analysis: Theoretical and historical overview and review of papers in the Journal of Advanced Nursing 1996-2004. Journal of Advanced Nursing, 54, 62-72.
    22. Wetherell, M. , Taylor, S. , & Yates, S. J. (2001). Discourse theory and practice: A reader. Sage, London.
    23. Wood, L. A. , & Kroger, R. O. (2000). Doing discourse analysis: Methods for studying action in talk and text.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24. Yi, M. (2009a). Analysis of conversation between elderly patients with dementia and nurses: Focusing on structure and sequential pattern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9 (2), 166-176.
    25. Yi, M. (2009b). Nonverbal communication between patients with dementia and their nurses in an elderly care institu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21 (1), 105-116.
    26. Yih, B. S. , & Yi, M. (2009). The life stories of elderly Korean women with urinary incontinence: A narrative study approach.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9 (2), 237-248.
    27. Zimmerman, C. (2004). Denial of impending death: A discourse analysis of the palliative care literature. Social Science & Medicine, 59, 1769-17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