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Search Advanced Search Adode Reader(link)
Download PDF Export Citaion korean bibliography PMC previewer
ISSN : 2508-2116(Print)
ISSN : 2713-7015(Onlin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Qualitative Research Vol.8 No.2 pp.120-136
DOI : https://doi.org/10.48000/KAQRKR.2023.8.120

Hospitalized Patients’ Experience of Receiving Environmental Management from an Artificial-intelligence Quarantine Robot

Sohee Nam1, Yeon Jeong Heo2, Byung Joon Kim3
1Manager, Infection Prevention and Control Unit, Yonsesarang Hospital, Seoul, Korea
2Instructor, College of Nursing,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huncheon, Korea
3Undergraduate, College of Nursing, Kangwon National University, Chuncheon, Korea
Corresponding author: Heo, Yeon Jeong https://orcid.org/0000-0002-5328-7194 College of Nursing, Kangwon National University, 1 Ganwondaehak-gil, Chuncheon 24341, Korea. Tel: +82-33-250-8880, Fax: +82-33-259-5636, E-mail: far1555@naver.com
September 30, 2023 ; October 23, 2023 ; October 31, 2023

Abstract

Purpose:

To determine whether artificial -intelligence quarantine robots can positively contribute to environmental management in medical institutions. We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to understand the experiences of hospitalized patients receiving environmental management from such robots.


Methods:

Data were collected during March 20~May 20, 2023.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5 hospitalized patients, who could provide specific details of their experience of receiving environmental management from a quarantine robot.


Results: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identified four themes, including “First encounter with an amazing and new quarantine robot,” “Efficiently performs non-face-to-face quarantine work in hospitals,” “Problems with quarantine robots,” and “Recommendations for improving the functionality of quarantine robots in medical institutions so quarantine robots and humans can coexist.”


Conclusion:

Currently, quarantine robots have limited functionality, and additional research is needed to identify various other functions in consideration of future infectious disease situations and the level of quarantine appropriate in a hospital.



의료기관에 입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인공지능 방역로봇으로부터 환경관리를 받아 본 경험

남 소 희1, 허 연 정2, 김 병 준3
1연세사랑병원 감염관리실 과장
2강원대학교 간호대학 강사
3강원대학교 간호대학 대학생

초록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인구의 고령화와 면역저하 환자의 증가로 감염에 취약한 환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어 의료관련감염에 대한 예방 관리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으며 숙주, 미생물, 환경, 이 세 가지가 감염 현상을 좌우하는 주요 요소이나 이 중 의료관련감염관리에서 환경의 중요성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1]. 의료 환경은 병원성 미생물의 저장소가 되어 미생물에 오염된 환경을 통해 의료관련감염의 전파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다[2-4]. 오염된 환경 표면이 의료종사자들의 손에 중요한 오염원이 되어 의료종사자들은 환자와 직접 접촉하지 않고, 의료 환경 표면을 접촉하는 것만으로 병원성 미생물을 다른 환자에게 전파시킬 수 있다[5,6].

    반코마이신에 내성을 보이는 장알균(Vancomycin-Resistance Enterococci, VRE)을 포함한 장알균과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을 포함한 황색포도알균은 건조한 표면에서 몇 달 동안 생존이 가능하고 Acinetobacter spp., Escherichia coli, Klebsiella spp., Pseudomonas aeruginosa와 같은 많은 그람 음성균과 Clostridioides difficile도 몇 달 동안 생존이 가능하다[7]. MRSA 접촉격리병실과 일방병실의 다빈도 접촉 부위에 대한 MRSA 오염도 조사에서 MRSA 접촉격리병실 뿐만 아니라 이전에 MRSA 감염이 없었던 일반병실의 다빈도 접촉 환경에서도 MRSA가 분리되었다[8]. 환자가 자주 만지는 품목은 MRSA, VRE 및 C. difficile과 같은 의료 관련감염 병원체에 오염되어 환경 표면에서 며칠에서 몇 주 동안 생존할 수 있고 의료종사자들 손을 오염 시켜 병원체를 직접 확산시킴으로써 의료 관련감염에 기여할 수 있다[9].

    의료 환경 표면에 낮은 농도라도 병원성 미생물의 전파를 유발할 수 있다[10]. 환자 환경의 청결은 질병으로부터의 회복을 촉진하는 중요한 요인이므로 의료기관 환경은 정기적인 청소가 필요하다[11]. 격리병실의 다빈도 접촉 표면을 매일 소독하는 것은 C. difficile 감염 및 MRSA 집락이 있는 환자의 방에서 다빈도 접촉 표면의 오염을 감소시켰다[12]. 오염된 환경 표면은 소독 및 세척을 통하여 이러한 병원체의 교차 감염을 감소시킨다[9]. 그러므로 의료 기구나 환경을 통해 환자가 감염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 상황에 맞게 환경 청소 및 소독이 필요하다 [13]. 환경관리는 모든 환경요인을 관리하는 넓은 의미이지만, 환경감염관리의 기본적이고 중요한 것은 환경을 물리적으로 깨끗하게 유지하는 것으로 환경에 존재하는 미생물을 완전히 제거하기는 어려우나 지속적인 관리로 감염의 위험을 최소화 하도록 노력해야 한다[14]. 효율적이고 규칙적인 환경소독을 통해 깨끗한 환경을 유지하는 것은 의료 관련감염을 감소시킬 수 있다[7,11,15].

    국내의 경우 외국에 비해 의료인이 담당하고 있는 환자 수가 많고, 의료 공간이 협소하며, 교육이 충분하지 못한 보호자가 같이 있는 현실을 감안하면 병원환경의 관리가 더욱 중요하다 [14].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Coronavirus Disease 2019, COVID-19, 코로나19) 범유행 상황이 지속됨에 따라 감염병 확산을 예방하거나, 발병된 지역을 소독하기 위한 방역에 대해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비대면 비접촉 방식으로 살균, 소독을 수행할 수 있는 인공지능 로봇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다 [16]. 최근 서울 소재의 전문병원에서 의료기관에 KT artificial intelligence (AI) 방역로봇(DIGICO KT, KT Enterprise, Seongnam-si, Korea)을 활용하여 환경 관리를 시작하였다. 현재 의료로봇에는 재활훈련보조로봇, 수술로봇 등 인공지능이 결합된 로봇 또는 비대면 검사, 진단, 시술, 방역 등 의료 전반의 비대면화 구현을 위한 로봇기술이 활용되고 있다[17]. COVID-19 범유행으로 비접촉, 비대면을 추구하는 현상을 가 져왔고, 의료 현장에서 소독 관련 업무에 보다 정밀하고 정확한 업무 수행을 할 수 있는 의료 로봇의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나, 아직은 방역 영역에서의 의료 로봇 산업이 시작 단계에 있으므로 이러한 로봇들에 대한 실증적 데이터가 많지 않아 의료 로봇의 사용에 대한 자료수집과 분석이 필요하다[18]. 따라서 이번 연구를 통해 의료기관에서 인공지능 방역로봇 사용 경험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통해 의료기관 환경 관리의 중요성에 대해 살펴보고 인공지능 방역로봇이 의료기관의 환경 관리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고자 한다.

    2.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의료기관에 입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인공지능 방역로봇으로부터 환경관리를 받아 본 경험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통해 방역로봇이 의료기관의 환경 관리에 긍정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주요 질문 은 “인공지능 방역로봇 사용 경험은 무엇인가?”이다.

    연 구 방 법

    1. 연구설계

    본 연구는 의료기관에서 인공지능 방역로봇 사용 경험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자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한 후 질적 내용분석방법(qualitative content analysis)을 이용한 질적연구이다.

    2. 연구자의 준비

    본 연구에 참여한 연구자들은 질적연구 전문가에게 질적연구방법론을 수강하고, 관련 학회에 참석하여 심층면담 기법과 질적 자료분석을 배우고, 질적연구에 대한 학문적 기초를 다졌다. 연구자들은 질적연구와 관련된 다수 연구에 참여하였으며, 최근 ‘COVID-19 확진 간호사의 심리사회적 경험’ 등 질적연구를 수행한 경험이 있다.

    3. 연구참여자

    연구참여자는 서울 소재의 관절전문병원에서 입원 중인 환자 중 KT AI 방역로봇(DIGICO KT, KT Enterprise, Seongnam- si, Korea)의 환경 관리를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목적적 표본표집을 하였다. 연구대상자 선정은 Richards와 Morse [19]의 질적 자료의 적절성과 충분성의 원리에 따라 의료기관에서 인공지능 방역로봇으로부터 환경관리를 받아 본 경험에 구체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대상자를 선정하고, 연구자료가 포화될 때까지 충분히 자료를 수집하였다. 질적연구방법에서 대상자 선택 시 의도표집 방법을 사용하며 대상자 수는 연구목적을 달성하기에 필요한 수가 된다. 더 이상 새로운 정보를 찾기를 끝내거나, 이론적인 생각이 완전하다고 생각될 때 새로운 대상자를 모집하는 것을 중단한다[19]. 12번째 연구참여자부터 새로운 진술이 거의 없이 비슷한 진술이 반복되었고, 추가로 3명을 더 면담하여 총 15명의 참여자를 면담하였다.

    연구참여자의 일반적 특성은 여자 13명, 평균 연령은 61.33 ±8.77세였다. 결혼 상태는 15명 모두 기혼이었으며, 최종 학력은 대학교 졸업 이상 6명, 고등학교 졸업 5명, 직업은 판매, 영업, 서비스직 3명, 사무, 관리, 전문직 3명, 주부 3명이었다 (Table 1).

    4. 자료수집

    자료수집기간은 2023년 3월 20일부터 2023년 5월 20일까지였다. 자료수집은 연구자 중 2인이 참여자 15명에게 개별적으로 연락하여 개인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면담 전 연구참여자에게 면담 자료의 누락을 방지하고, 신빙성을 확보하기 위해 면담 내용을 녹음하는 것에 대한 설명을 하였고, 연구참여자의 서면 동의를 받은 후 면담을 진행하였다. 면담 시간은 참여자가 원하는 시간으로 정하였고, 면담 장소는 의료기관 내 소회의실에서 진행하였다. 면담을 진행할 때 연구자와 참여자 모두 체온 측정, 마스크 착용, 거리두기, 손위생, 환기 실시 등 개인위생 및 방역수칙을 준수하여 참여자 15명을 대상으로 대면 면담을 시행하였다. 개인 심층면담 횟수는 1회 혹은 2회 진행하여, 참여자 10명은 1회, 참여자 5명은 2회 시행하였다. 각 면담의 평균 시간은 약 40~50분 정도 소요되었다. 개인 심층면담은 참여자의 긴장을 완화시키기 위해 일상적인 안부를 묻는 것을 시작으 로 점차 연구주제와 관련된 내용에 대해 편안하게 이야기 할 수 있도록 자연스러운 면담 분위기를 조성하였다. 면담은 개방형 질문으로 시작하였으며, 그 예는 다음과 같다. “인공지능 방역 로봇에 대한 경험은 어떠셨나요?”, “인공지능 방역로봇이 환경 청소, 소독을 하고 난 후 드는 생각과 느낌은 어떠하였나요?”, “인공지능 방역로봇을 환경 청소/소독을 한 후 무엇이 바뀌었나요?”, “인공지능 방역로봇의 장점은 무엇이라고 생각 하나요?”, “인공지능 방역로봇의 단점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요?”, “로봇이 방역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나요?”, “방역로봇의 도입이 환경관리에 차별화가 된다고 생각되나요?”, “인공 지능 방역로봇의 개선해야 할 점은 무엇이라고 생각하나요?” 이다.

    5. 윤리적 고려

    연구 수행 전, 기관생명윤리위원회(YSSR 2023-03-002)에서 연구 진행의 승인을 받았다. 자료수집을 수행한 연구담당자가 직접 참여자에게 연구의 목적, 참여기간, 절차 및 방법, 면담 내용을 현장에서 녹음하게 되는 과정, 자유의사에 의한 연구참여 및 동의 철회, 개인정보 보호에 관해 5~10분간 충분한 설명을 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할지 여부는 전적으로 참여자의 선택에 의한 것이며, 참여하지 않을 경우에도 전혀 불이익이 없음을 설명하였다. 면담 중간에 녹음을 원하지 않을 경우 바로 중단 할 수 있고, 면담을 종료한 후에도 참여자의 진술이 연구에 이용되는 것을 거부할 수 있고, 연구 중간에 언제든지 참여를 중단할 수 있으며, 동의 철회를 원할 경우 조사된 자료는 즉시 폐기됨을 설명하였다. 연구참여자에게 동의서를 제공 및 설명 하여 자발적으로 연구에 참여할 의사가 있고, 연구에 동의하는 경우 서면 동의를 받았다. 참여자는 설명문의 내용을 읽고 자발 적으로 연구에 참여할 의사가 있고, 연구에 동의하는 경우 심층면담을 시행하였다. 자료수집과 분석과정에서 개인정보를 알 수 있는 가능성을 배제하기 위한 방법으로 참여자의 이름을 사용하지 않고 사례번호를 지정하여 자료를 익명처리하였다. 참여자에게 면담 중 진술한 내용은 연구자료에만 이용되며, 자료가 타인에게 노출되지 않도록 자료 저장 시 개인 PC에 비밀 번호를 설정하여 모든 내용들은 비밀보장 됨을 설명하였다. 참여자에게 수집된 정보는 개인정보 보호법에 따라 적절하게 관리하고, 연구가 끝남과 동시에 즉시 영구 삭제됨을 설명하였고, 연구참여에 대한 소정의 답례로 상품권을 제공하였다.

    6. 자료분석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질적 내용분석방법을 사용하여 정교한 코딩과정을 통해[24] 타당하고 타당한 분석과 해석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Downe-Wamboldt [20]가 제시한 8단 계의 질적 내용분석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첫째, 자료수집을 담당한 연구자 2인은 참여자의 생생한 경험에 대한 느낌을 잊지 않기 위해 참여자와 면담을 종료한 당일 녹음한 내용을 반복하여 들으며 참여자의 진술 그대로 필사하였다. 필사된 내용은 연구자 3인 모두 반복하여 읽으며, 전체적인 분위기를 파악하였고, 구문과 문장을 분석단위로 정하였다. 그리고 명확한 내용으로 기술하고자 의미 있는 구문과 문장을 추출하여 코드화 하였다. 둘째, 코드들을 바탕으로 초기 주요 범주를 생성한 후 선정된 구문과 문장을 각 범주에 적용하였다. 셋째, 추출된 구문과 문장이 초기 범주에 포함되지 않은 경우 새로운 범주를 추가하여 범주들에 대한 점검 과정을 거쳤다. 넷째, 초기 범주와 추가 범주를 작성하면서 연구자 전원 모두 구문과 문장을 범주에 따른 분류를 하였고, 의견의 일치가 이루어질 때까지 계속 범주를 수정하였다. 다섯째, 주제를 범주에 분류하는 과정에서 범주들을 수정하고, 필요한 경우 코딩 규칙을 수정하였다. 여섯째, 코딩과 범주에 대해 재점검을 시행하였고, 일곱째, 전체 자료에 대한 코딩화 및 도출된 주제들은 질적연구의 경험이 많은 간호학 교수 2인의 점검 과정을 통해 내용분석의 신뢰도를 검토하였다. 여덟째, 분석 결과에 따른 주제와 참여자의 경험의 일치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참여자에게 범주와 주제들에 대한 확인 과정을 거쳐 연구 분석에 대한 타당성을 검토하는 단계를 수행하였다.

    자료수집과 분석은 거의 동시에 이루어졌으며, 연구자 모두 자료의 코딩 과정과 범주화에 참여하였다. 분석의 전 과정에 연구자 모두가 참여하였으며,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4회 대면 회의를 진행하여 수차례 분석하고 논의하였다. 면담 내용을 지속적으로 공유하며, 자료수집과 동시에 분석의 과정을 거쳤다. 분석과정에서 연구자들 간에 의견 차이가 발생한 경우는 원 자료로 돌아가 재검토하여 참여자들의 경험을 가장 잘 드러내는 가에 대해 중점을 두고 의견 합의점을 찾았다. 연구자 전원이 연구결과에 대한 의견이 일치하고, 충분한 논의가 이루어졌다고 판단될 때까지 4회 대면 회의를 진행하였다. 분석한 연구결과에 대해 동료 전문가 2명의 피드백을 받아 분석한 범주와 주제, 하위주제의 명명에 대해 다시 검토하였고, 참여자의 경험 을 충분히 반영하고 있는지 다시 점검하였다.

    7. 연구의 엄격성

    연구의 엄밀성을 확보하고자 Lincoln과 Guba [21] 그리고 Sandelowski [22] 제시한 질적 평가기준에 따라 신뢰성, 전이 가능성, 감사가능성, 확인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신뢰성은 “실 제 연구결과가 그럴 듯 한가?“에 대한 것으로 기술적, 해석적 차원에서 연구가 얼마나 타당한지를 평가하는 것이다[23]. 본 연구에서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면담 내용을 모두 녹음하고, 녹음된 내용을 여러 번 듣고, 참여자의 진술 그대로 필사하였다. 참여자의 경험을 생생하게 전달하기 위한 노력으로 면담을 시행한 날 바로 필사하였고, 의미가 충분히 전달되지 않은 내용이나, 추가 면담이 필요한 부분에 대해서는 참여자에게 양해를 구하고 추가 면담을 진행하여 모호한 의미에 대하여 확인 하였다. 필사한 내용은 여러 번 검토하고, 질적연구 경험이 풍부한 질적연구자들과 토의하여 분석함으로써 신뢰성을 향상 시키기 위한 노력을 하였다. 자료의 분석과 해석에서 자료로부터 적합한 의미를 찾아내고, 구체적인 자료에서 보다 추상화된 범주나 주제를 찾아 명명할 때 자신이 가진 의미를 억지로 부여 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며, 이러한 분석과 해석의 신뢰성을 확보하는 전략으로 참여자로부터 확인받기(member check) 가 있다[23]. 연구참여자 모두에게 최종 분석된 범주, 주제모음, 주제 내용을 보여주고 연구자가 기술한 내용이 참여자가 경험한 내용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확인하였다. 전이가능성은 연구결과를 다른 맥락과 상황 속에서 얼마나 적용 가능한가를 나타내는 것으로 질적연구에서 연구결과가 다른 맥락에 전이 가 가능한 가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23]. 참여자의 일반적 특성을 기술하고, 참여자의 경험을 풍부하게 제시하여 독자에게 다른 비슷한 상황에 적용 가능할 수 있도록 제시하였다. 감사가능성은 질적연구과정이 일관되고, 연구자가 적합하게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을 사용했는지 검증하는 기준으로 연구자의 현장노트가 중요한 자료가 된다[23]. 감사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해 연구 전 과정에 대해 자세히 기술하였고, 연구결과를 제시할 때 참여자의 진술문을 있는 그대로 인용하였다. 확인가능성은 신뢰성, 전이가능성, 감사가능성을 확보하면 얻어지는 것으로 연구결과가 참여자와 연구 조건에 의존하고 연구자의 선입견과 편견을 최소화함으로써 중립적인 확인가능성을 확보하게 된다[23]. 확인가능성을 위해 연구자는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과정에서 선입견을 차단하고 참여자에 대한 무비 판적인 태도로 중립의 상태로 경청하였고, 연구가 종료될 때까지 연구자의 가정과 선입견에 대해 괄호처리(bracketing)하였다. 연구결과의 해석과 분석 과정에서 오류를 줄이고, 연구결과의 엄격성을 확보하는데 도움이 되기 위해[23], 동료의 피드백을 받았다.

    연 구 결 과

    본 연구는 의료기관에서 인공지능 방역로봇 사용 경험을 통해 방역로봇이 의료기관 환경 관리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기 위하여 질적 내용분석방법으로 분석하였고, 최종 4개의 범주, 14개의 주제모음, 그리고 40개의 주제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 결과 도출된 주제 모음은 ‘신기하고 새롭게 느껴지는 방역로봇과의 첫 만남’, ‘의료현장에서 비대면 방역 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함’, ‘방역로봇의 다양한 문제점들’, ‘의료기관에서 방역로봇의 기능을 개선하여 방역로봇과 인간이 공존하기 위해 나아 갈 방향’이었다(Table 2).

    범주 1. 신기하고 새롭게 느껴지는 방역로봇과의 첫 만남

    모든 참여자들은 처음 보는 방역로봇이 신기하고, 귀엽게 느껴졌다. 방역로봇이 스스로 움직이고 앞에 장애물이 있으면 멈 추는 등 자율주행하는 모습을 보며 사람처럼 똑똑하다고 느끼며 방역로봇에 호감을 느꼈다. 방역로봇이 생각 외로 조용하게 움직이고, 불빛도 눈부시지 않아 병동에 왔다가는지 잘 모를 정도이며, 불편한 존재로 인식하지 않았다.

    1) 방역로봇에 대한 호감 가는 첫인상

    대부분 참여자들은 다른 병원에서는 방역로봇을 본적이 없고, 이곳에서 처음 본 방역로봇을 보면서 방역로봇이 있는 것 자체가 그저 신기하고 병실 문이 닫혀 있으면 멈추고 기다렸다가 문을 열어주면 들어가는 모습에 똑똑하게 느껴졌으며, 심지어 보면 볼수록 귀엽다고 느꼈다.

    (1) 처음 만난 방역로봇이 신기함

    대부분의 참여자들은 입원 중에 방역로봇이 의료기관의 환경관리를 하는 모습을 보며 놀랍고 신기하게 생각하였다.

    인상이 신기했지요. 보니까, 다른 병원에는 저거 없지 않아요? 다녀봐도 잘 못 봤어. 저거 보니까는 우리 티비에서도 저거 못 봤잖아요. 보니까, 뭐 청결도 하고, 소독도 하고, 로봇 처음 봤을 때 난 저거 우리 집에 가져갔으면 좋겠다.(참여자 8)

    식당에서 음식 같은 거 서빙하는 거는 내가 식당에 가면은 요즘은 갖다주고 그러지. 그런 거는 봤는데 저거를 여기 와서 처음 봤어요. 청소하는 것은 처음 봤고, 처음에 보고 어? 신기하다?(참여자 9)

    (2) 자율주행하는 모습을 보며 똑똑하다고 느낌

    대부분의 참여자들은 COVID-19 범유행으로 비대면 서비스에 최적화된 의료 로봇들이 개발되고, 바이러스의 확산을 방지하고자 방역과 살균에 관심이 높아진 상황에서, 대부분의 참여자들은 실제 자율주행 기술이 적용되어 자유롭게 공간 이동이 가능한 방역로봇을 보면서 제법 똑똑하다고 느꼈다.

    내가 생각하기에 쟤가 엄청 똑똑해요. 가다가 문이 닫혀 있으면 못 들어가고 한참 서 있어. 그리고 열린 데는 마음대로 들락 거리고 그리고 가다가도 뭐 센서가 되어 있는 지 냉장고 같은 데 이렇게 가까이 갈 만큼 가고 지가 또 다시 되돌아가고...(참여자 7)

    이제 들어가려고 하다 문이 닫혔으면 안 들어가잖아. 한참 있어. 그러면 우리 여사가 문을 열어주면 또 들어가더라고. 그런 거 얼마나 똑똑해.(참여자 10)

    (3) 귀엽게 느껴짐

    일부 참여자들은 비대면, 비접촉 환경관리를 제공하는 방역 로봇을 보고있으면 귀엽고 친근하게 느껴지기도 하였다.

    딱 보자마자 귀엽던데요? 첫 느낌이 귀엽기도 하고, 그러니까는 제가 첫 느낌에 그러면 다른 사람들도 그렇게 느낄 것 같아요.(참여자 13)

    너무 너무 귀엽더라고. 또 계속 해보게 돼. 재밌어서... (참여자 12)

    2) 크게 단점을 느끼지 못함

    모든 참여자들은 방역로봇이 움직일 때 소리가 나지만 시끄럽다고 느껴지지 않을 정도의 아주 작은 음악 소리가 들려서 불 편하게 느끼지 않았다. 그리고 방역로봇 아래 부분에 살균을 하기 위한 불빛이 나오고 있으나 앉아 있거나 누워있을 때 눈이 부시지 않았고, 방역로봇의 단점을 딱히 느끼지 못하였다.

    (1) 있는 듯 없는 듯한 존재

    대부분의 참여자들은 방역로봇이 사람을 대신해 비대면 비접촉 살균 소독을 조용하게 수행하여 만족하였다.

    조그맣게 약간 무슨 음악 같은 거 나오는데 시끄럽지 않아. 괜찮아. 잠자거나 할 때도 괜찮아요.(참여자 9)

    밑에 몰래 살균 빛이 LED 같은 그런 빛이 나온다는데 잘 안보여서 전혀 몰랐어요. 잘 때도 전혀 안보여서...(참여자 11)

    (2) 불편하게 느껴지지 않음

    대부분의 참여자들은 의료 현장에서 방역로봇은 사람이 있는 상태에서 효과적인 소독작업을 수행하며, 보다 안전하고 편리한 환경관리를 제공한다고 느꼈다.

    단점은 딱히 없어요. 부딪힐 것 같지도 않고 뭐 소리도 뭐 소음 같은 거 몰랐다니까. 와가지고 슬슬 다니더라고. 너무 기분이 좋더라니까.(참여자 4)

    로봇 때문에 불편한 것은 없고 오면은 참 반갑더라구요. 정겹고. 그냥 조용히 이렇게 오는 것이 참 반갑고 좋더라고요.(참여자 11)

    범주 2. 의료현장에서 비대면 방역 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함

    대부분 참여자들은 의료기관에서 방역로봇을 사용하는 것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였다. 방역 로봇 하나로 의료기관의 이미지가 향상되었고, 이 현상은 COVID-19 유행으로 방역 로봇의 역할이 부각된 것으로 생각하였다. 청소 인력의 노동력을 대체할 뿐만 아니라 비대면 비접촉 살균을 시행함으로써 2차 감염예방을 할 수 있고, 청소와 공기청정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하여 방역로봇을 사용하는 것이 효률성이 높다고 생각하였다.

    1) 새로움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

    대부분의 참여자들은 방역로봇은 가정에서 사용하는 것보다 의료기관에서 사용되는 것이 적절하다고 생각하였고, 방역 로봇을 의료기관에서 사용함으로써 다른 병원과 차별화가 되며, 경쟁력이 있다고 느꼈다. 특히, COVID-19 범유행 상황이 방역 로봇의 역할을 더욱 부각시킨 것으로 생각하였다.

    (1) 병원에서 사용하기에 적절한 방역로봇

    대부분의 참여자들은 환자가 밀집하여 입원하고 있는 의료 현장은 감염의 위험 수준을 고려했을 때 방역로봇을 더욱 잘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하였다.

    환자들은 이 청결한 환경이 더 좋아하죠. 그러니깐 물론 똑같은 환경이라면은 로봇이 있으면 더 가고 싶지 않겠어요?(참여자 11)

    가정에서 돌아다니면 조금 더 불편하지 않을까? 걸리적거리는 걸리적거려서 집에서는 그냥 공기청정기는 한 곳에서만 가만히 있는데, 저거는 뭐 여러 사람이 있는데 쓰는데 가정에서는 아직까지는 좀 그럴 것 같아요. 집은 좀 비좁기도 하고, 이제 돌아다니면은 부딪치는 이제 좀 불편한 점이 있을 것 같고, 이제 여름 돼서는 대중으로 환자들 위주로 하니까 여러 면에서도 훨씬 좋죠.(참여자 11)

    (2) 방역로봇 하나로 높아지는 병원 위상

    대부분의 참여자들은 COVID-19 범유행으로 바이러스 확산을 예방하기 위해 방역에 관심이 많았으며, 특히, 비대면으로 방역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방역 로봇이 병원에 있음으로써 안전한 방역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하였다.

    병원 이미지가 최첨단 로보트에 의해 가지고 가치가 상승된다. 이 병원의 이미지가 같이 상승이 된다는 거니까 이게 실내에서 왔다 갔다 함으로 해서 이 병원은 좀 첨단을 걷는 그런 병원이네 인제 이런 말도 있고, 그리고 또 로보트가 좀 선구자적이잖아. 병원에 있음으로 해서 비록 청소하고 정화하고 하는 거 그거지만은 거의 있음으로 해서 이게 병원이 같이 상승되고 이미지가 좋은 이미지를 바뀐다는 게 참 중요한 것 같아요.(참여자 9)

    공기청정기는 많이 봤는데 저 로봇은 못 봤죠. 저거가 있으면 병원 이미지가 높아지지.(참여자 11)

    다른 병원이랑 좀 차별화됐다라는 생각이 드는 게 이 병원은 진짜 깨끗하고 수준 있는 병원이구나 생각했다니까. 깨끗 청결에 신경을 쓰고...(참여자 4)

    (3) COVID-19 팬데믹이 방역 로봇의 긍정적 이미지를 부각 시킴

    대부분의 참여자들은 COVID-19 범유행은 사회 구조와 생활패턴의 변화에 따라 의료용 로봇이 의료 현장에서 다양한 분야에 활용되며, 보다 안전한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고 생각하였다.

    지금 코로나 때문에 더 이게 인기가 좋은 거잖아요. 코로나 때문에 좀 이게 됐던 게 이게 좀 많이 이게 있음으로 해서 나를 위로하는 거지. 만약에 코로나가 이제 완화가 되면 친구가 이제 좀 이렇게까지 지금까지의 이미지를 갖고 있지 않을거라 생각하는데 왜 그러냐면 사람들이 코로나 피크를 봤잖아요. 안 봤으면 몰라 또 겪어 봤으니까. 이게 좀 코로나에서 우리를 예방해 줄 것이라는 예방해 줄 것이다. 하는 그런 생각이 좀 들어요. 그런 이미지는 있어요.(참여자 9)

    2) 사람 역할을 대신해줌

    대부분의 참여자들은 방역로봇이 청소 인력을 대체함으로 써 인건비를 절약할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청소 인력이 의료기관을 청소하는 것보다 방역로봇이 청소를 하는 게 좀 더 청결하게 환경관리가 되고 있다고 느꼈고, 사람이 하는 것보다 더 믿음직스러워하며 심리적으로 편안해하였다.

    (1) 노동력 대체를 통한 인건비 절감

    대부분의 참여자들은 로봇 기술을 활용하여 기존 사람이 하던 업무를 방역로봇으로 대체함으로써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방역 로봇 처음 딱 보고 신선하고 인건비가 절약이 된다고 느꼈어요. 장점은 이제 인력이 절감되는 거고, 사람을 안 쓰니까 시간 절약 효과도 있는 거에요.(참여자 1)

    앞으로 추세가 그럴 것 같아요. 꼭 필요한 데는 사람이 하고 그게 아닌 경우 또 기계가 할 수 있는 로보트가 할 수 있는 범위가 있어요. 청소라든지...(참여자 3)

    (2) 좀 더 쾌적하고 청결하게 관리됨

    대부분의 참여자들은 일정 시간을 주기로 병원 내 시설의 방역을 수행하는 방역로봇이 청소와 소독 관련 업무를 훌륭히 해 내며, 높은 청결도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고 평가하였다.

    이제 바닥도 좀 더 깨끗해지고, 그런 면에서 병원 자체가 우리 요 병실만 봐서도 깨끗하더라고. 병실만 봐도 왔다가 싹 왔다가 가는데 너무 좋더라니까 진짜 내 기분이...(참여자 4)

    전엔 없었는데 계속 나오고 왔다 갔다 계속하니까 이제 잘 청소하고 있구나 깨끗해지는 것 같은 느낌도 들고...(참 여자 5)

    이제 사람이 닦고 나서 이제 또 사람이 할 수 있는 한계 가 있잖아요. 기계가 하니까 더 깨끗한 거 같아요. 저게 청소하면 확실히 저게 있으니까. 뭐 이런 데 먼지라든지. 저런 데 먼지 끼는 거 그런 것도 그전에 왔을 때보다 많이 개선이 된 거 같아. 내가 3년 전에 입원해 있을 때보다...(참여자 6)

    3) 일석 이조의 효과

    모든 참여자들은 COVID-19와 같은 감염병 유행을 통해 소독 중심의 방역의 의미가 확대되어 감염병을 예방하고 전파를 효율적으로 억제시키기 위해서 청소와 공기청정, 그리고 살균 소독을 담당하는 방역로봇의 기능에 만족하였다.

    (1) 청소와 공기청정 효과가 동시에 있어 좋음

    모든 참여자들은 방역로봇이 청소 업무뿐만 아니라 공기청정 업무를 수행하여 이로 인한 병원 내 환경이 더욱 청결하다고 느꼈다.

    바닥을 청소하고 나면 아무래도 좀 락스를 쓰니까 냄새가 많이 나는데 이 로봇 친구가 왔다 가면 이제 냄새가 덜 나고 공기 정화도 되는 거 같고, 청정효과가 있는 것 같아 요.(참여자 1)

    난 깜짝 놀랐다니까? 처음에 들어왔을 때는 입구에 있더라고. 입구가 있어서 공기청정기 그거 있잖아요. 그건 줄 알고만 있었는데, 그 다음 날 되니까. 청소도 잘 되고 참 공기도 좋겠고 너무 좋더라고. 가만히 생각하니까 그걸 아무 병원에서 본 적이 없거든요.(참여자 4)

    (2) 청소도 되고 방역에도 도움이 됨

    모든 참여자들은 COVID-19 이후 방역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방역로봇이 사람을 대신해 체계적으로 방역 업무를 수행하며 병원 내 감염 확산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고 생각하였다.

    이게 코로나 같은 그런 방역에 도움이 된다고 생각이 드는 게 이제 바닥이랑 세균도 청소도 하고, 먼지도 이렇게 다 흡수하고 하니까 균도 다 없애 주겠구나 하는 마음에서 좋아요.(참여자 2)

    공기에서도 도움이 되고, 청결에서도 도움이 되고. 방역에 로봇이 코로나 그런 질병 같은 거에 도움이 되지.(참 여자 4)

    (3) 비대면 비접촉 청소 및 살균 소독을 담당함

    모든 참여자들은 COVID-19 이후 감염병 예방을 위해 사람과 사람 간 접촉을 자제하기 위한 방편으로 방역로못이 비대면 비접촉 살균 소독을 담당하면서 감염 전파를 억제하는데 효과적이라고 느꼈다.

    어떻게 보면 병원에 이제 사람이 왔다 갔다 하면서 들락거리는 게 좀 그렇죠. 사람이 들어오면 바깥 세균을 안고 들어올 수가 있잖아요. 세균 감염이 돼 있고 사람들이 뭐 코로나니까 이제 마스크 쓰고 뭐 이렇게 하지만 코로나가 아닌 상태에서도 코로나 수술 때 오더라도 밖에 뭐 세균을 얼마 오는지 그런 우리가 인지를 못 하잖아요.(참여자 3)

    이제 방역이 되고, 코로나 시대에 소독 같은 게 된다고 하니까 다 좋게 생각을 하지. 뭔가 사람이 이렇게 청소를 하다 보면, 사람이 옮길 수도 있고 그런 부분들이 있는데, 기계니까 좀 그런 게...(참여자 7)

    4) 감염 전파를 예방함

    모든 참여자들은 방역 로봇의 주된 역할로 바이러스가 전파 되는 것을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고 하였다. COVID-19 범유행 상황에서 의료기관 내 COVID-19 감염 전파가 더 이상 발생하지 않는 것을 보며, 방역 로봇이 COVID-19 감염으로부터 자신을 지켜준다고 생각하였다.

    (1) 바이러스 전파 감소에 효과가 있음

    모든 참여자들은 방역로봇이 환경관리를 함으로써 바이러스 감염의 전파를 효율적으로 억제시킬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저런 장비가 있음으로 인해서 또 그렇지 못한 사람들이 바이러스를 갖다가 전파하는 효과를 감소시키지 않을까요?(참여자 1)

    저는 처음 봤는데 로봇 청소기가 와서 바이러스를 전파 하는 거 예방해서 뭐 감기 걸린 사람은 없는 것 같아요.(참여자 2)

    (2) COVID-19 방역 역할을 함

    모든 참여자들은 현재 방역로봇이 있음으로써 COVID-19 감염의 병원 내 전파를 예방하여 바이러스 확산을 효율적으로 억제시킬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우리 몇 달 동안 지내보니까, 제가 있음으로써 깨끗해지고, 하니까 이게 뭐야? 코로나도 적게 걸리는 것 같고, 그런 느낌이 있네요. 코로나도 덜 걸리고 코도 이제 덜 막히고 이러니까 쟤가 제 역할은 하는 것 같다라는 것이죠. (참여자 13)

    코로나에 대해서도 어쨌든 코로나도 균이잖아요. 그런 데 그런 것을 살균하고 소독하고 또 공기를 맑게 하면은 균이 살 수가 없잖아요. 그러니까 그런 거에 대해서 그렇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러면 이제 코로나에 대해 방역 이 된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참여자 11)

    5) 믿음직스러운 방역로봇

    국내에서는 COVID-19 확산 방지를 위해 비대면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생겨나면서 대부분 참여자들은 방역로봇이 비대면 비접촉 방식으로 청소와 방역을 담당하고 있는 점에 대해 만족해하였다. 방역로봇이 청소와 방역을 동시에 수행하면서 서비스 제공자와 수요자 간의 안전성과 높은 청결도를 유지시켜 주는 방역 체계에 신뢰감을 느꼈다.

    (1) 심리적인 안정감을 느낌

    대부분의 참여자들은 방역로봇이 인력을 대신하여 보다 깨끗한 환경을 제공해 준다고 믿으며, 편안해하였다.

    로봇이 청소를 깨끗이 하잖아...(중략)...지금 좀 심리적으로 되게 이렇게 좀 안정되어 있는 느낌을 받고, 전에는 없었어요. 그러니까 있으니까. 좋다는 거지.(참여자 5)

    로봇이 하면은 사람이 하는 것보다 더 믿음직해요. 안정감이 있는 것 같아.(참여자 10)

    (2) 비접촉 살균 소독 방식에 신뢰감이 듦

    대부분의 참여자들은 수작업으로 소독하는 방식보다 방역 로봇이 비접촉 살균 소독 방식을 신뢰하고 선호하였다.

    그 밑에 초록색 불 나오는 거 있잖아요. 로봇 보면 초록 색 밑에 불 나오잖아요. 신뢰감이 들지. 그게 색깔이 살균하는 거래. 초록색이라 굉장히 신뢰감이 들더라고.(참여 자 7)

    황색빛도 나고 녹색빛도 나는데 좀 이렇게 황색빛 나는 건 내가 조심히 봤거든요. 황색빛은 약간 지금 좀 더러운 상태에서 청소한다. 하는 이 뜻이고 한참 가면서 색깔이 녹색으로 바뀌는 것 같더라고요. 얘가 나름대로 일을 하고 있구나 믿음이 가지.(참여자 9)

    (3) 조용하게 소독을 시행하고 가서 만족함

    대부분의 참여자들은 사람이 소독을 시행할 경우 오고가는 것에 신경이 쓰이고 불편함을 느꼈으나, 방역로봇의 경우 사람이 거의 없는 일정한 시간대에 조용히 소독 업무를 수행하여 만족해하였다.

    사람이 소독하고 다니면은 또 우리가 걸리적거리고 신경 쓰이잖아요. 사람이 하면 좀 걸리졌거든. 냄새도 나 왜 사람 들통 짊어지고 다니는 거 좀 보면 불쾌하거든. 소독 한다고 이러고 다니면은 이거는 그럴 말 전혀 없잖아. 너 무 조용히 왔다가 너무 조용하니까 소독을 얼마만큼 하고 가는지는 우리가 모르지만은 기분으로 느끼기는 깔끔하고 조용하고 부지런하고, 사람은 일단 왔다 가면은 우리가 의식적으로 신경 쓰이고 들통 매고 요거 소독하는 거 갖고 다니면은 냄새도 안 나는데 냄새나는 거 같고, 기분이 뿌려지는 그런 것도 보이는 거 같고, 그렇잖아요.(참여 자 12)

    병원에서 그렇게 맞춰서 한 거 같애요. 그니까 로봇하고 부딪치고 그럴 때가 없지. 우리가 이렇게 물리치료하고 이렇게 조용한 시간에 들어왔다가. 환자들이 없잖아요. 우리 방에 그럴 때면 병원에서 다 그거 체크하고서 이 렇게 시간 맞춰서 그런 것 같아요.(참여자 8)

    범주 3. 방역로봇의 다양한 문제점들

    일부 참여자들은 방역로봇의 외형에서 인간적이지 않다고 느꼈고, 소리 없이 다가오는 것에 대해 불안하고 불편하다고 생 각하며, 낯설게 느꼈다. 일부 참여자들은 방역로봇이 자율주행에 한계가 있음을 느끼며, 사람이 청소하는 것에 비해 구석구석 청소할 수 없는 것에 대해 환경관리를 홀로 도맡아 할 수 없을 것으로 생각하며 사람을 대신할 수 없다고 하였다.

    1) 아직은 낯선 방역로봇

    일부 참여자들은 방역로봇의 기계 같은 외형에 사람이 청소 할 때보다 방역 로봇이 청소한다는 것에 대해 외형적으로 낯설게 느꼈다. 대부분 참여자들은 방역 로봇이 조용히 청소하고 소독하는 모습에 만족하였으나 일부 참여자들은 소리가 안 나서 방역 로봇이 갑자기 나타나 불편하다고 느꼈고, 조용히 청소하더라도 밤에 청소하는 것에 대해 불안함을 느꼈다.

    (1) 너무 인간적이지 않은 기계같은 외형

    일부 참여자들은 공기청정기 밑에 로봇 청소기가 붙어있는 방역로봇의 외형 디자인이 딱딱하게 느껴졌다.

    로봇 모양이 원통 용기에다가 하얀색이잖아요. 색깔이 근데 뭐 사람같이는 아니어도 인형 캐릭터 같으면 좀 나을 거 같은데, .얘는 뭔가 너무 좀 딱 쉽게 얘기하면 공기청정기 같은 느낌 외형으로 볼 때는...(참여자 7)

    뭔가 로봇이 이제 로봇 청소기가 밑에 있고 위에 공기청정기 같이 붙어있는 형태잖아요. 뭐 캐릭터나 그런 거는 그니까 뭔가 얘가 너무 동그라니까 너무 기계 같다는 생각이 있어서...(참여자 8)

    (2) 소리 없이 다가오는 로봇

    일부 참여자들은 방역로봇이 조용히 다가왔을 때 인기척을 느끼지 못하여 오히려 소음이 적은 것에 대해 불편감을 느꼈다.

    소리가 안 나가지고 좀 불편해요. 지금 로봇이 지금 나한테 접근하고 있구나라는 걸 모르니까...(참여자 1)

    (3) 밤에 청소하는 것이 불편함

    일부 참여자들은 방역로봇이 조용히 방역업무를 수행할지라도 밤에 병실에 와서 청소와 소독을 하고 가는 것에 대해 불안한 마음이 들고, 불편하다고 하였다.

    소리는 안 나더라도 뭐가 좀 이렇게 왔다 갔다 하면은 불안하죠. 사람들이 우리가 껌컴한데도 간호사 선생님들이 이렇게 살짝 왔다 가도 또 나같이 좀 예민한 사람은 인기적을 느끼니까 그냥 밤에는 충전하고 낮에만 그냥 여러 번씩 왔다 갔다 하면 좋겠다.(참여자 6)

    2) 일부 국한된 방역로봇의 역할

    대부분의 참여자들은 방역로봇이 뒤로 가는 기능이 없어 맞주쳤을 때 방역로봇이 가만히 서 있기만 하여 참여자들이 직접 비켜가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사람과 달리 방역로봇은 구석까지 깨끗하게 청소할 수 없었고, 접촉식 청소 업무를 수행하지 못하여 사람이 따로 물걸레질 같은 접촉식 청소 업무를 해야 한 다고 생각하였다.

    (1) 불완전한 자율주행

    대부분의 참여자들은 방역로봇이 길을 막거나, 가만히 서 있는 모습을 보며 방역로봇이 완벽하게 자율 주행을 하지 못한다고 생각하였다.

    왔다 갔다 하면서 정지하는 거 같던데, 정지하면서 길을 막을 때 좀 불편하죠. 이제 장비는 거기에 대한 이제 사람이 오면은 좀 뒤로 물러선다든지 이렇게 할 수 있을 텐데 저거는 인제 정지하더라는 거죠.(참여자 1)

    방에 문이 닫히면은 못 들어가잖아요. 같이 열어줬죠. 자기가 문을 못 여니까.(참여자 5)

    (2) 로봇과 부딪칠 염려가 됨

    대부분의 참여자들은 방역로봇이 장애물을 제대로 피해가 지 못하는 모습을 보며, 사람과 부딪칠까봐 염려되었다.

    저게 뒤로는 못 가거든요. 옆으로 피할 줄은 아는데 뒤로는 못 가요 그래서 이렇게 들어왔을 때 돌아서 나갔을 거 예요. 그런 것 때문에 워커 같은 거나 휠체어 끄시는 분이 더 피하기 어려우실 것 같아요. 실제로 워커 두 분이 이렇게 끌고 가시면 로봇이 아예 길을 막더라구요.(참여자 14)

    (3) 구석구석 청소 하지 못함

    일부 참여자들은 사람이 직접 청소하는 것에 비해 방역로봇이 좁은 구역에 들어가지 못하여 청소의 사각지대가 발생 된다고 생각하였다.

    방에 싹 한 바퀴 돌고 뭐 하는 건 잘해. 구석구석 속까지는 못가고 방에 갔다가 나와서 다시 가고...(참여자 5)

    구석구석이야 저거는 덩치가 크니까 인자 드갈 수도 없고 나올 수도 없고 못 닦는데...(중략)...근데 구석구석 하려면 사람 손이 원래 사람이 닦아야 되는 그런 게 있지(참 여자 9)

    (4) 접촉식 청소 업무의 부재

    일부 참여자들은 방역로봇이 비접촉 방식으로 청소하는 것 보다 사람이 직접 물걸레를 사용하여 청소하는 것이 더 낫다고 생각하였다.

    근데 아줌마 보니까, 밀대 있잖아요. 아줌마가 싹 닦아 내니까. 밀대 밑에 마포 대걸레를 이렇게 끼워가지고 이렇게 싹. 그러면 이제 무엇보다 사람이 닦는 게 그런 건 로봇보다 낫다. 물걸레 같은 거는...(참여자 9)

    그래도 물걸레질은 기계가 안 하잖아요. 기계가 물걸레 질까지는 안 하잖아요. 그것도 이제 구석구석에는 아직은 이제 청소 여사님이 해야지 구석구석까지는 로봇이 물 묻은 거를 어떻게 해요.(참여자 7)

    3) 100% 사람을 대체하지 못함

    일부 참여자들은 방역 로봇의 업무와 청소 직원의 업무가 따로 있다고 생각하며, 방역 로봇의 역할에 한계점을 느꼈다. 그리고 간호사의 업무가 많이 바쁠 때 방역 로봇이 알코올 솜이나 약을 환자에게 갖다주는 역할조차 맡길 수 없다고 생각하였다.

    (1) 청소 직원과 로봇의 업무는 따로 있음

    일부 참여자들은 방역로봇이 청소와 소독을 해주는 부분이 있고, 추가로 사람이 보강하여 청소를 해줘야 할 부분이 있다고 생각하였다.

    저는 생각을 로봇이 또 해주는 일 따로 있고 또 청소하는 엄마들이 해 아줌마들이 하는 일이 따로 있다고 생각합니다.(참여자 9)

    청소하는 아줌마들 별도로 다 닦아내고 하더라고요. 그래서 사람이 할 일이 따로 이거 로보트 할 일이 따로 있는 거 같애. 이제 로봇이 사람을 대체할 수 없고 100프로 대 체는 안 되죠.(참여자 9)

    (2) 간호사의 업무를 맡길 수 없음

    일부 참여자들은 방역로봇이 의료용 로봇으로써 추가적인 의료서비스 업무를 수행할 수 없을 것으로 생각하였다.

    중요한 물품 있잖아. 얘한테 이제 가지고 보낸다? 빨래 하는 거 있잖아요. 이런 빨래 뭐 그런 거는 로보트 해주실 수 있는데, 뭐 약품이라든지. 간호사실 옮겨오는 그런 거는 아주 민감한 약 같은 거 있잖아요. 함부로 절대로 안 될 것 같아요. 소독도 그렇고 알코올 그런 것도 그렇고 간호사들이 하는 그런 일은 못 할 거 같애.(참여자 9)

    범주 4. 의료기관에서 방역로봇의 기능을 개선하여 방역로봇과 인간이 공존하기 위해 나아갈 방향

    대부분의 참여자들은 방역 로봇이 외형적으로 인간적인 모습을 기대하였다. 방역 로봇이 장애물을 인식하여 피할 수 있는 자율 주행 기능을 추가하고, 사람이 직접 물걸레질을 하지 않아도 될 정도로 청소를 하는데 접촉식 방역 업무 기능이 있었으면 좋겠다고 바랬다. 그리고 청소 외에 간단한 상호 교감을 할 수 있는 기능이 있거나 수납 기능의 추가로 물품을 넣을 수 있다면 더 효율적이지 않을까 생각했다.

    1) 방역로봇의 외형에 대한 기대

    대부분의 참여자들은 방역로봇이 인간의 모습을 담은 캐릭터의 형태로 개발되었으면 어떨까 생각하였다. 의료기관의 특성 상 거동이 불편한 환자들이 많기 때문에 방역로봇 스스로 장 애물을 피해가는 기능이 있기를 바랬다.

    (1) 외형적으로 크기의 감소

    대부분의 참여자들은 방역로봇의 크기가 작아지면 청소의 사각지대 없이 방역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하였다.

    크기가 조금 이렇게 크다 보니까, 어떻게 뭐 큰 짐이라든지. 이렇게 식당 여기는 병원이잖아요. 병원이니까. 이제 큰 물건이 왔다 갔다 그럴 때 이제 조금 이렇게 부딪치지. 조금 적으면서 청소를 좀 깨끗하게 할 수 있지 않을 까.(참여자 6)

    저게 만약에 작아지면 좀 구석구석할 수도 있긴 하잖아요. 작아지면 좋을 거 같아요.(참여자 13)

    (2) 대기 상태에 따른 색깔 변화

    대부분의 참여자들은 방역로봇의 공기청정기능에서 추가로 방역로봇이 대기 상태의 변화를 알려주는 기능이 추가되었으면 좋겠다고 생각하였다.

    로봇이 뭔가 공기청정기 보면 공기 대기 상태에 따라 가지고 색깔이 바뀌잖아요. 대기가 좀 나빠지면 이제 색깔이 빨간색으로 바뀐다든지 그게 있으면 좀 더 신뢰도가 높겠죠. 그러면 빨간색에서 이제 여기 방에 좀 오래 있다 가 보면 파란색 되는 거 보면 아 깨끗해졌다 이런 느낌으로 색깔별로 이제 구분이 되니까. 많은 사람들이 더 호응이 좋겠죠.(참여자 7)

    공기 질이 좋으면 웃는 표정 뭐 이런 안 좋으면 나쁜 표정 이런 게 있으셨음 좋겠어요. 저런 그런 표정이 있었으면 좋겠어요.(참여자 9)

    (3) 사람 형태나 캐릭터 적용

    대부분의 참여자들은 방역로봇의 외형 디자인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였고, 사람 얼굴과 유사한 디자인을 선호하 였다.

    로봇 원통용에다가 이거잖아요. 하얀색이잖아요. 색깔이 인형 캐릭터나 아니면 뭐 좀 사람같이는 아니어도 사람 같이 형태의 그런 거면은 더 이제 보기가 좋으니까.(참여 자 7)

    캐릭터면 뭔가 귀엽다기보다는 뭔 그래도 친근감이 들지 않겠냐 하는 생각도 있어서(참여자 8)

    2) 자율 주행 기능의 향상

    대부분의 참여자들은 방역로봇의 자율 주행 기능이 부족하다고 생각하였다. 뒤로 가지도 못하고, 장애물이 있으면 그대로 멈춰버리는 모습을 보며 방역로봇의 자율 주행 기능이 향상 되어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1) 장애물 회피 주행

    대부분의 참여자들은 방역로봇이 장애물 회피 능력을 갖추어 유동 인구가 많은 병원에서도 통행자와 충돌하지 않고 방역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 개선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였다.

    워커를 하는 사람들은 여기 수술하셔서 불편하니까 어르신들은 반사 기능도 떨어지고 왕래를 하시면서 부딛칠 수도 있으니까. 가까이 왔을 때 스스로 기계장치가 조금 이렇게 비켜줄 수 있는 프로그램이 있으면 좋지.(참여자 1)

    (2) 뒤로 가기 기능 추가

    대부분의 참여자들은 의료현장에서 방역로봇이 실내공간의 소독을 하면서 앞으로만 가는 것이 아닌 뒤로 가는 자율 주행 기능을 추가하여 병원 내 혼잡한 공간 안에서 환자와 부딪치지 않고 공간이동을 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고 하였다.

    이제 어떤 상황이었냐면 이 복도가 좁잖아요. 워커가 두 분이나 계신 거예요. 상황에서 워커는 뒤로 갈 수도 없고 앞으로 갈 수도 없고 이제 그거 워커를 끄는 자체가 이 제 쫌 힘드시니까 워커를 잡는 거잖아요. 근데 쟤는 이제 이렇게 오고 있는 상황에서 이제 세 분이서 이제 세 명이 서 배치를 하신 거죠. 내가 어떻게 해야 되나 길이 막혀있고 하니까 그런 상황이 있었다고 하실 때가 그래서 로봇이 뒤로 가진 못하니까 로봇도 돌아갈 줄 알지만 뒤로 가진 못하니까 그게 조금 불편하다. 뒤로 갈줄 알아야지.(참여 자 10)

    이제 좀 나이가 드신 할머니 할아버지들이 워커 끌고 다니시잖아요. 이렇게 두 분이 계시면 워커가 복도가 꽉 차는데 이 로봇이 뒤로 가는 기능은 없어요. 비켜서 가면 비켜줘. 근데 이제 할머니 할아버지분들은 이제 좀 민첩 성도 없고 이러니까 약간 어떻게 해야 되지 이러셨던 거죠.(참여자 12)

    (3) 사람이 접근 시 알람 기능

    대부분의 참여자들은 방역로봇과 부딪칠까봐 염려하였고, 방역로봇의 기능에 사람이 접근하게 되면 알람이나 음악과 같이 소리로 알려주는 기능을 추가해야 한다고 하였다.

    사람을 인지해서 지금 로봇이 지금 내한테 접근하고 있구나라는 걸 감지할 수 있다면 더 좋지 않을까? 사람이 이렇게 통행할 때 로봇이 그것만 좀 알람이 되는 기능만 더 추가된다면 좋지.(참여자 1)

    아마 저게 그냥 다닐 때는 그냥 노랫소리가 들리는 걸로 아는데 저거를 좀 줄여 놓으신 것 같아요. 네 노랫소리 가 살짝 들리는데 그러면 노랫소리 말고 조금 위험 부딪칠 수 있는 상황 그때만 그런 알람이 조금 울렸으면 좋겠어 요.(참여자 11)

    3) 접촉식 방역 수행의 기능 강화

    대부분의 참여자들은 방역로봇의 환경 관리 방식에서 접촉식으로 청소 및 방역 업무를 추가하고, 구석구석 닦을 수 있도록 사각지대에 대한 청소 부분을 아쉽게 생각하고 있었다. 방역로봇의 청소 횟수가 부족하고, 한 층에 한 대만 다니는 것에 대해서 소독 업무가 부족하다고 느끼며, 앞으로 방역 수행 기능 의 강화를 바랬다.

    (1) 접촉식 방역 작업

    대부분의 참여자들은 방역로봇의 방역 업무를 수행할 때 비접촉 방식으로 하다보니 바닥 외에 손잡이 등 다빈도 접촉 부위에 대한 소독이 제대로 수행하도록 개선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였다.

    이런 데 손 닿는 부분 뭐 이런 것도 해줬으면 좋겠는데 체격이 잘 되는데 이런 데는 못 하니까. 손잡이 이런 위의 부분은 청소가 안되니까 그거 얘기죠. 위쪽에 조금 사람이 만지는 부분을 소독했으면 좋겠다.(참여자 12)

    (2) 사각지대 청소의 필요성

    대부분의 참여자들은 방역로봇이 모서리와 곡면 등 청소 사각지대 없는 청소 작업이 가능해져서 구석구석 청소할 수 있도록 기능이 개선되어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여기는 안 오고 여기서 유턴해서 가더라고. 얘야 일로 와라 그래도 안 오고 응 근데 요런 구석구석까지 좀 왔으면 좋겠어.(참여자 6)

    조금 아쉬운 거는 이게 침대가 중간중간에 있잖아요. 옆에 사이 있잖아. 거기까지 들락날락 해줬으면 나는 더 좋겠어.(참여자 7)

    (3) 청소 횟수의 증가

    대부분의 참여자들은 방역로봇이 일정한 시간대에 1회 청소 업무를 수행하는 것에 대해 부족하다고 생각하였고, 방역로봇이 몇 차례 추가적인 청소 업무를 수행하면 좋겠다고 생각하였다.

    하루에 한 번 그냥 다니되 두 번 정도 다녔으면 더 좋겠다는 생각 네 생각이 들거든요. 우리가 눈에 안 보여서 그렇지 이거 먼지 같은 게 진짜 많거든요. 사실은 그게 다 정화될 수 있다. 아이가 만일 두 번 되면 더 좋을 것 같아.(참여자 4)

    로봇이 많이 다녔으면 좋겠어. 많이 안 다니잖아. 오전 에 한 두번 다니고, 오전에 한 세번, 오후에 또한 세번 횟 수를 늘려주십시오.(참여자 5)

    (4) 방역 로봇의 증가

    대부분의 참여자들은 현재 방역로봇이 1대만 운영되고 있어서 공기 정화하는데 부족하다고 느꼈고, 방역로봇의 숫자를 늘려 한 층에 최소한 2대 이상 방역로봇을 갖추어야 한다고 생 각하였다.

    로봇 한대에 몇 평정도, 몇 프로정도 정화되는지 층에 한 두대는 좀 있어야기만은 이 환경을 좀 더 공기를 정화 시킬 수 있다고 생각을 하고 있구요.(참여자 6)

    4) 방역 업무 외 기능에 대한 바램

    일부 참여자들은 방역로봇의 업무 외에 사람과 대화를 나누고 상호 간에 교감을 할 수 있는 기능이 있으면 좋겠다고 생각 하였다. 그리고 방역로봇이 홀로 돌아다니면서 청소와 소독 업무만 하는 것이 아니라 수납 기능을 추가해서 의료기관의 업무를 도와주는 것이 좋을 것 같다고 하였다.

    (1) 수납 기능의 추가

    일부 참여자들은 방역로봇이 방역 업무 외에 추가적으로 물건을 수납할 수 있는 기능을 추가하여 바쁜 병원 업무에 도움이 되였으면 좋겠다고 생각하였다.

    뭔가 기계가 뭔가 물건 수납하는 거 있잖아요. 수납하는 기능이 있으면 뭐 위에 뚜껑같이 해 가지고 수납하는 거 있으면 좋을 것 같아요. 그럼 이게 간호사 선생님이 바쁜데 도움이 될 거 같은데(참여자 8)

    (2) 간단한 상호 교감이라도 표현했으면 하는 바램

    일부 참여자들은 방역로봇이 간단한 인사말을 하거나 현재 하고 있는 업무에 대해 말을 해주는 등 사람과 상호작용을 하면 좋겠다고 하였다.

    음성이 나왔으면 좋지 않을까? 뭐랄까 이게 축 뭐 조심 하십시오. 조심해 딱 다가갔을 때 조심하십시오. 아니면 뭐 부딪칠 것 같아요. 그런거 해주면 좀 낫지 않나. 더 친절 하게 느껴져요. 저렇게 지금 음악이 울리는 것보다 그냥 한번씩 살균 중입니다. 이렇게 말을 한 번 넣어주면 좋겠다.(참여자 3)

    말을 했으면 좋겠어요. 어떤 식으로 말을 했어. 안녕하세요. 한다든가 안 그러면은 제가 옆으로 비키겠습니다. 뭐 이런 식으로 고런 식으로 보면 글쎄 지금 딱히 정도(참 여자 11)

    논 의

    본 연구는 서울 소재의 관절전문병원에서 입원 중인 환자 중 KT AI 방역로봇(DIGICO KT, KT Enterprise, Seongnam-si, Korea)의 환경 관리를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의료기관에서 인공지능 방역로봇 사용 경험에 대해 질적 내용분석방법으로 심층적인 이해를 통해 방역로봇이 의료기관 환경 관리에 도움이 되는지 확인하고자 참여자의 독특한 경험에 대해 있는 그대로 이해하고, 인공지능 방역로봇이 의료기관의 환경 관리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4개의 주제 모음이 도출 되었다.

    첫 번째 주제 모음인 ‘신기하고 새롭게 느껴지는 방역로봇과의 첫 만남’에서는 ‘방역로봇에 대한 호감 가는 첫인상’, ‘크게 단점을 느끼지 못함’으로 두 가지 범주가 포함되어 있다. 의료기기 개발로 인공지능의 기술이 실용 단계에 이르며 수술 및 중재 시술을 보조하는 로봇, 장애 보조 로봇, 간호 로봇 등 다양하고 광범위한 의료기관의 임상 분야에 적용되고 의료로봇이 활용되고 있다[17]. 참여자들은 의료기관에서 방역로봇을 처음 만나고 신기하였으며, 장애물이 있으면 멈추고, 문이 열리면 들어가는 자율주행하는 모습을 보며 똑똑하다는 생각도 하고, 귀엽게 느껴졌다. 선행연구에서 방역로봇 사용 경험에 대 한 연구는 없었으나 휴먼케어 콘텐츠 소셜 로봇인 리쿠(LIKU) 의 로봇 상담에 대한 직장인 사용자 경험에 대한 연구에서도 로봇에 대한 설레임이나 호감 등과 같은 기대 반응을 보였고, 부담없이 상담에 참여하였다[24]. 앞으로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각종 기술들이 융합하여 컴퓨터의 소프트웨어를 바탕으로 한 인공지능 로봇과 공존하는 사회가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25]. 방역로봇에 대해 참여자들의 반응은 거부감보다는 흥미 와 기대로 강한 호감을 느꼈고, 이러한 긍정적인 반응은 추후 인공지능 로봇과 공존하는 사회에서 인류와 로봇이 함께 조화롭게 살아가는 첫 걸음이 될 것이다.

    두 번째 주제 모음인 ‘의료현장에서 비대면 방역 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함’에서는 ‘새로움에 대한 긍정적인 이미지’, ‘사람 역할을 대신해줌’, ‘일석 이조의 효과’, ‘감염 전파를 예방 함’, ‘믿음직스러운 방역로봇’으로 다섯 가지의 범주가 포함되어 있다. 참여자들은 방역로봇은 가정에서 보다 병원에서 방역 업무를 수행하기 위한 수단으로 적절하고, 방역로봇을 적용함 으로써 의료기관의 가치가 상승되고 이미지에 좋은 영향을 미친다고 느꼈다. 특히, 방역로봇은 COVID-19 범유행 상황에서 더 가치를 발휘한다고 생각하였다. COVID-19 유행은 의료 로봇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게 만드는 계기가 되었고, 소독 및 물류 이송하는 업무뿐만 아니라 감염병 상황에서 선별 검사, 격리 환자에 대한 원격 진료 등의 다양한 업무를 수행하는 의료 로봇 의 수요가 증가하게 되었다[18]. COVID-19 감염의 급격한 확산 시기에 의료 현장에서는 인력의 한계와 의료종사자들의 감염 위험성 및 의료기관 내 감염 확산과 같은 여러 문제들에 부딪히게 되었고, 추후 많은 전문가들은 COVID-19가 종식되더라도 다른 형태의 신종 감염병으로 부터의 위기는 끊임없이 지속될 전망으로 우리에서 의료 로봇의 활용은 감염병의 예방과 확산을 효율적으로 억제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존재로 자리 잡았다[18]. COVID-19 범유행으로 생활양식 및 사회 구조가 변화되면서 건강과 질병의 치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게 되었고, 의료 로봇은 의료 현장에서 안전하고 편리한 의료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추후 이러한 방역 부분에 중요한 역할로 자리매김 하고 있는 방역로봇에 대해 보다 정밀하게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정부 및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의료 로봇 산업의 개발과 적용의 준비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세 번째 주제 모음인 ‘방역로봇의 다양한 문제점들’에서는 ‘아직은 낯선 방역로봇’, ‘일부 국한된 방역로봇의 역할’, ‘100% 사람을 대체하지 못함’으로 세 가지의 주제가 포함되어 있다.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로봇의 구조화된 알고리즘이나 데이터로 처리되기 힘든 육체적으로 숙련을 요하는 노동, 감정적 접촉이 중요한 노동과 관련하여 로봇이 인류의 고유한 기능을 대체하기엔 힘든 부분이 있다[26]. COVID-19 감 염병의 확산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감염병의 확산을 억제하기 위해 감염원의 격리와 차단에 중점을 두기보다는 COVID-19 감염병으로 인한 대상자들의 정신건강의 돌봄이 중요하며, 돌봄이 필요한 환자로서의 욕구를 반영한 치료 체계를 갖추는 것이 중요하다[27]. 전 세계적으로 COVID-19 감염 확산을 예방하고, 발병된 지역의 소독 및 방역에 대한 관 심이 높아지고 있는 상황에서 방역 인원을 대신하여 의료기관이나 공공기관, 학교 등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고 있는 다중 이용 시설에서 방역 로봇에 대한 수요는 점점 커지고 있다[16]. 실제 방역 현장에서 표준화된 방역 로봇 시스템 개발과 함께 실질 적으로 유용한지 효율성의 여부를 고려하여 기존 방역체계에서 어떤 부분을 대체할 수 있고, 실제 방역로봇을 도입함으로써 의료인이 갖는 위험 및 노동의 부담을 줄일 수 있는 비대면 방역로봇 시스템의 연구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네 번째 주제 모음인 ‘의료기관에서 방역로봇의 기능을 개선하여 방역로봇과 인간이 공존하기 위해 나아갈 방향’에서는 ‘방역로봇의 외형에 대한 기대’, ‘자율 주행 기능의 향상’, ‘접촉식 방역 수행의 기능 강화’로 세 가지 주제가 포함되어 있다. 방 역로봇은 특히 COVID-19 이후 불특정한 다수의 사용자가 방문하는 의료기관의 방역 작업에 필수적인 기기로 자리 잡고 있으며, 사람이 없는 공간에서 혼자 소독 및 방역 업무를 하는 것 이 주요 업무이므로 사회성 관련 장치의 개발은 불필요하였으나, 주행 중 사람을 마주쳤을 때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해서 최소한의 인터렉션 장치가 필요하다[28]. 인공지능 기술이 발전 하면서 의료분야에서 로봇의 활용이 늘어나면서 의료 로봇이 할 수 있는 서비스의 범위가 확대되고 있는 시점에서, 방역이라는 특수한 업무에 특화된 로봇이더라도 다수의 환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므로 사용자와의 대면 시 기본적인 소통을 위한 피드백이 필요하며, 신뢰감을 주는 외형적 디자인이 요구 된다[28]. 의료기관에서 환경을 관리하는 목적으로 개발된 방 역로봇이 효율적으로 인력을 대체하고, 비대면 비접촉 방역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인 방역 업무 뿐만 아니라 의료 서비스의 전체를 아우를 수 있도록 외형적으로 디자인의 개 선과 사용자와의 적절한 커뮤니케이션 기술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상의 논의를 요약하면, 이번 연구결과 의료기관에서 인공 지능 방역로봇 사용 경험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방역로봇은 의료기관 환경을 안전하게 관리하는데 적합하여 도움이 되었으며, 의료기관에서 인간과 로봇이 공존하기 위해서는 프로세스 개선과 추가적 기능의 개발이 필요함’으로 도출되었다. 방역을 수행하는 로봇은 실제로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이 다소 한정 되어 있어 추후 감염병 상황과 의료시설에 맞는 방역 수준까지 고려하여 다양한 방역 기능을 수행하도록 개발하여 실제 활용 도가 높은 방역 로봇을 통해 이러한 COVID-19 범유행 상황 및 새로운 감염병이 발생했을 때 유의미하게 환경관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결 론 및 제 언

    COVID-19 범유행 이후 임상 현장에서 보다 다양한 인공지능 기술 기반의 의료로봇이 개발되고 있으나, 현재 수행하고 있는 액체 분출 형식의 방역이나 자외선을 방출하는 UV 로봇 외 에도 접촉식 소독 방식 등 새로운 기술 개발 및 기존에 나와 있는 로봇들의 적절하게 조합하고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도출할 필요가 있다. COVID-19 감염병 범유행 사태의 교훈 삼아 언제 다시 올지 모르는 새로운 감염병들에 대해서도 방역 체계를 마련하여 대비하고, 의료기관의 청소 및 방역 업무를 충실히 수행 할 수 있도록 방역로봇의 성능을 높이기 위해 축적된 방대한 데이터의 분석을 통한 연구개발로 실제 방역 현장에서 널리 사용 되고 활용될 수 있는 표준화된 방역로봇의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 그리고 방역로봇의 방역 업무 외에도 대상자를 마주쳤을 때 간단한 상호 교감을 표현할 수 있는 인간중심적 서비스를 제공하여 향후 융합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로봇의 외형도 인간과 더욱 친밀한 관계를 맺을 수 있도록 인간적인 모습과 표정 등 로봇 표정을 구현하기 위해 다양한 디자인의 개발도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향후 방역로봇의 개발과 적용을 준비하고, 소독 관련 업무에 보다 정확하고 정밀한 업무수행을 완수할 수 있도록 연구들이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국내 의료기관에서 인공지능 방역로봇 사용 경험을 바탕으로 방역로봇의 역할에 대한 새로운 지식을 제공하고, 방역로봇의 역할에 대한 요구도를 파악하여 COVID-19 범유행 상황과 같은 감염병 유행 상황에서 비대면 비접촉 방역 업무 가 중요함을 확인하였다. 방역로봇 사용 경험을 바탕으로 의료 기관 환경관리의 중요성을 다시 인식하고, 새로운 방역 분야의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함을 인식하는 계기가 된 점에 의의가 있다. 그러나 이 연구에는 몇 가지 제한점이 있다. 본 연구는 서울 소재의 전문병원에서만 시행하여 경험에 대해 일부 제시하였으며, KT AI 방역로봇(DIGICO KT, KT Enterprise, Seongnam- si, Korea)만을 사용하여 일부 방역로봇의 사용 경험만을 제공하였다. 추후 다양한 지역과 의료기관으로 연구대상을 확대할 것을 제안한다. 그리고 KT AI 방역로봇(DIGICO KT, KT Enterprise, Seongnam-si, Korea) 외에 다양한 방역로봇에 대 한 사용 경험에 대해 연구할 것을 제언한다. 아직 방역부분에서 의료 로봇 산업이 발달하고 있는 시작 단계로 이러한 로봇들에 대한 실증적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COVID-19 범유행 상황 및 새로운 감염병이 발생했을 때 의료기관의 환경관리의 질 향상에 도움이 되는지 추후 연구가 필요하다.

    CONFLICTS OF INTEREST

    The authors declared no conflicts of interest.

    Figures

    Tables

    General Characteristics of Participants (N=15)

    The Themes of Hospitalized Patients' Experience of Receiving Environmental Management from an Artificial-intelligence Quarantine Robot

    References

    1.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Guidelines for the prevention and control of infections in healthcare [Internet]. Cheongju: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2017 [cited 2023 Jun 10]. Available from: https://www.kdca.go.kr/board/board.es?mid=a20507020000&bid=0019
    2. Adams CE, Smith J, Watson V, Robertson C, Dancer SJ. Examining the association between surface bioburden and frequently touched sites in intensive care. Journal of Hospital Infection. 2017;95(1):76-80.
    3. Donskey CJ. Does improving surface cleaning and disinfection reduce health care-associated infections? Journal of Hospital Infection. 2013;41(5 Suppl):S12-S19.
    4. Han JH, Sullivan N, Leas BF, Pegues DA, Kaczmarek JL, Umscheid CA. Cleaning hospital room surfaces to prevent health care-associated infections: A technical brief. Annals of Internal Medicine. 2015 20;163(8):598-607.
    5. Donskey CJ. Beyond high-touch surfaces: Portable equipment and floors as potential sources of transmission of health careassociated pathogens. Journal of Hospital Infection. 2019;47: A90-A95.
    6. Huslage K, Rutala WA, Sickbert-Bennett E, Weber DJ. A quantitative approach to defining "high-touch" surfaces in hospitals. Infection Control & Hospital Epidemiology. 2010;31(8):850-853.
    7. Kramer A, Schwebke I, Kampf G. How long do nosocomial pathogens persist on inanimate surfaces? A systematic review. BMC Infectious Diseases. 2006;6:130.
    8. Villamaria FC, Berlanga G, Liao IC, Ganachari-Mallappa N, Stock EM, Zeber JE, Jinadatha C. Comparison of environmental MRSA levels on high-touch surfaces in contact isolation and noncontact isolation patient rooms. Infection Control & Hospital Epidemiology. 2015;36(12):1472-1475.
    9. Boyce JM. Environmental contamination makes an important contribution to hospital infection. Journal of Hospital Infection. 2007;65 Suppl 2:50-54.
    10. Russell AD. Bacterial resistance to disinfectants: Present knowledge and future problems. Journal of Hospital Infection. 1999;43 Suppl 1:S57- S68.
    11. Doll M, Stevens M, Bearman G. Environmental cleaning and disinfection of patient areas. International Journal of Infectious Diseases. 2018;67:52-57.
    12. Kundrapu S, Sunkesula V, Jury LA, Sitzlar BM, Donskey CJ. Daily disinfection of high-touch surfaces in isolation rooms to reduce contamination of healthcare workers' hands. Infection Control & Hospital Epidemiology. 2012;33(10):1039-1042.
    13. Jeong SY, Choi JH, Kim EK, Kim SM, Son HJ, Cho NH., et al. Actual disinfection and sterilization control in Korean healthcare faciliti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014;21(4):392-402.
    14. Kim YA, Lee H, Lee K. Contamination of the hospital environmental by pathogenic bacteria and infection control. Korean Journal of Nosocomial Infection Control. 2015;20(1):1-6.
    15. Weber DJ, Sickbert-Bennett E, Gergen MF, Rutala WA. Efficacy of selected hand hygiene agents used to remove Bacillus atrophaeus (a surrogate of Bacillus anthracis) from contaminated hands. The Journal of the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003;289(10):1274-1277.
    16. Kim KG, Choi JS, Kim JS, Lee WS, Kim SK, Gwak SN. Development of AIDBOT in Korea, a self-driving quarantine robot. Korea Robotics Society Review. 2021;18(2):3-10.
    17. Choi JS, Kim JG. Medical Robot and AI. Journal of Institute of Control, Robotics and System. 2021;27(2):13-20.
    18. Moon JE, Cho YJ. Healthcare robots in the new normal era; Outlook for the Post-Corona era.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2021;19(2):509-514.
    19. Richards L, Morse JM. Read me first for a user's guide to qualitative methods. 2nd ed. Thousand Oaks: Sage Publications; 2007. p. 21-116.
    20. Downe-Wamboldt B. Content analysis: method, applications, and issues. Healthcare for Women International. 1992;13(3): 313-321.
    21. Lincoln YS, Guba EG. Naturalistic inquiry. Beverly Hills, CA: Sage Publications; 1985. p. 289-331.
    22. Sandelowski M. The problem of rigor in qualitative research. Advances in Nursing Science. 1983;8(3):27-37.
    23. Yi MS, Ko MH, Son HM, Kim JY, Kang SR, Oh SE, et al. Qualitative research. Paju: Soomoonsa; 2018. p. 6-274.
    24. Mo EC, Lee LA, Yoo SH.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human care program and user experience using social robot contents.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2022;23(4):685-695.
    25. Kim SR. Legal tasks and prospects of the revolution and the fourthh industrial revolution and the AI era. Journal of Law. 2018;18(2):21-57. Available from: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 DE07483287
    26. Lee JH. A critical sketch of artificial intelligence. Marxism 21. 2016;13(3):12-43.
    27. Park KA, Lee HE, Jang TJ, Chio SY, Kim JA, Kim YS. Experiences of self-employed women confirmed with coronavirus disease 2019 in the early stages of the pandemic: An interpretative phenomenological analysis study.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for Qualitative Research. 2023;8(1):13-28.
    28. Song YM. A study on the experience elements of robot design in medical industry. Journal of Basic Design & Art. 2021;22(6): 239-256.